•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 프로이트의 심층 심리적 무의식에 대해서 - E. 후설의 “현상학적 무의식”에 연관해서 - (Das Problem des Unbewusstens in der Freudischen Tiefenpsychologie - im Vergleich mit dem Unbewussten in der Husserlschen Pheanomenologie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8.10
26P 미리보기
S. 프로이트의 심층 심리적 무의식에 대해서 - E. 후설의 “현상학적 무의식”에 연관해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4권 / 54호 / 309 ~ 334페이지
    · 저자명 : 배우순

    초록

    이 소론은 두 가지 주제를 논의하고 있는데, 그 하나는 프로이트의 심층심리적 무의식 이론을 『무의식』(1915) das Unbewusste과 그와 같은 해, 1915년에 발표된 4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그 문제학적 배경과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후설의 현상학적 무의식의 문제를 『제(諸) 이념 I』(1913) Ideen I 을 중심으로 프로이트의 그것과 비교하면서 그 내용을 정리해보는 것이다. 두 저작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의식 문제를 논의하되, ‘추상적인’ 어떤 무의식이 아니라 ‘구체적’ 인간의 인격(Person)과 그 인격의 의식을 전제한 무의식이라는 점이다. 또 두 사람 모두, 의식을 매개로 무의식의 문제를 논의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그뿐 아니라 “의식되지 않는 것” - 그러나 의식 속에 잠재적으로 남아 있어서 의식에 작용하는 그런 것 - 을 의식화해서 폭로해서 밝혀낸다는 목표도 두 사람 모두에게 공통적 관심사이다.
    그런데 실질적인 논의에 들어가면, 양자는 전혀 다른 내용의 무의식을 말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프로이트의 경우는 1. 무의식은 억압(Verdraengung)으로 대변되는 임상의학적인 기초에 근거하고 있다. 2. 무의식은 그 활동 방식에 있어서는 현재 의식에 작용을 하되 의식 밖에 머무는, 즉 의식과는 다른 존재 양태를 갖는다. 3. 무의식의 존재 양태는 꿈과 같이 전위(Verschiebung)되고 압축(Verdichtung)되어 있다. 4. 프로이트에 있어서 무의식의 세계란 경험의 세계가 아니라 상징의 세계다.
    후설의 경우는 1. 무의식의 문제는 프로이트와 달리 경험의 세계에서 성립한다. 2. 후설의 관심은 의식 속에 잠재해 있음에도 “의식되지 않은 것”(Unbewusstes)을 해명하자는 인식론적 문제다. 3. 후설에 있어서 무의식의 영역은 프로이트의 경우와 달리 “객관적” 경험에 상관된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접근법도 조직적이다. 4. 후설의 경우, 현상학적 환원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의식 속에 작용하면서도 의식하지 못하는 선험적 현상학의 영역을 새로운 문제의 장으로 개시한다. 이런 방법론적 조치를 통해서 밝혀지는 것이 a) 의식의 구조 개념으로서 노에마 노에시스라는 의식의 지향성과 b) 순수 자아이다.

    영어초록

    Diese Arbeit hat zwei Themen unter einem Problemtitel “Unbewusst”(oder “Unbewusstheit”): Ein ist “Unbewusstes” in S. Freudischer Tiefenpsychologie, ein anderes “Unbewusstes” in E. Hussercher Phaenomenologie. Sie untersucht vergleichsweise die Konzeption “Unbewusstheit” bei Beide, obwohl beide Denker wenige Gemeinsamkeit in aesserem Sinn haben. Aber man darf nicht hier missverstehen, dass das Thema “Unbewusstheit” unbedingt zu der Psychologie gehoerig sei. Gerade in diesem Punkt kann solch einer Vergleichsversuch nicht geringen konstruktiven Beitrag leisten, indem er die Bedeutung der “Unbewusstheit”, die oftmals begrenzt und einseitig vorgestellt wird, bereichern. Als Ausgangspunkt solcher Problematisierung wird es zuchaechst die Texte gesucht, die die gemeinsame Basis fuer dialogsfaehige Disskussion haben: Es wird so entschieden, dass das Unbewusste (1915) fuer S. Freud und Ideen I (1913) fuer E. Husserl ist. Denn beide Werke haben folgenderweise zwei gemeinsame Puenke. Erstens sie beide problematisiert Unbewusstsein in dem Kontext der real-konkreten Personalitaet. Zweitens die beide erklaeren Unbewusstheit mittels des Bewusstseins.

    Man kann die bestimmte Untersuchungsergebnisse folgendermassen vorbringen.
    Fuer Freud zeigen sich die Merkmale des Unbewusstens in seiner Tiefenpsychologie: 1. Ihhaltlich gesehen, ist es als "Verdraengung" auf dem Boden der Neurologie basiert. 2. Es uebt seinen Einfluss in dem Bewusstsein aus; aber es hat eine andere Existenzweise als Bewusstsein, indem es ausserhalb des Bewusstseins. 3. Die Seinsweise des Unbewusstseins erscheint in Form der Verdichtung und Verschiebung usw. wie eine Traumwelt. 4. Es gilt insofern als die Welt des Symbols.
    Husserl hat “Unbewusstheit” selbst thematisch nicht aufgestellt, jedoch hat seine transz. Phaenomenologie dieses Thema als ein wichtiges Problem indirekt aufgezeigt. Husserlsche “Unbewusstheit” praesentiert sich: 1. sie kommt in erster Linie unter dem Horizont der Erfahrung zustande. 2. Sie bezieht sich auf die Erkenntnis, welche in dem Bewusstsein latend und “unbewusst” fungiert. 3. Husserl untersucht diese phaenomenologsche Unbewusstheit unter der soliden Methodik “Reduktion”. 4. Dadurch wurden a) Intentionalitat des Bewusstseins als Struktur des Bewusstseins und b) das reine Ich, das in dem Bewusstsein “unbewusst” vielfaeltige Funktionen leistet, entuel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