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리학적 정치이념의 양면성과 正祖의 실리주의적 정치관 연구 - 茶山의 『自撰墓誌銘』 기록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the Neo - Confucian Political ideals and Pragmatic Political Ideas of King Jeongjo(正祖))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04
32P 미리보기
성리학적 정치이념의 양면성과 正祖의 실리주의적 정치관 연구 - 茶山의 『自撰墓誌銘』 기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59호 / 345 ~ 376페이지
    · 저자명 : 김치완

    초록

    조선은 성리학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건국되었다. 그래서 조선은 중앙집권적 정 치체제 하에서도 왕권이 적절하게 견제되는 이른바 ‘士大夫의 나라’, 곧 성리학적 질 서가 확립된 나라로 유지되었다. 이는 조선이 유가 전통의 가치와 그것에 기초한 정 치의 公共性을 무엇보다도 강조했음을 뜻한다. 이 연구에서는 유교국가 조선이 표방했던 성리학적 질서로서 禮制가 사실상 두 측면이 있음에 주목했다. 그 하나는 만인에게 적용되는 무차별적 원칙이고, 다른 하 나는 신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되는 차별적 규범이다. 이는 유교 윤리학의 오래 된 개념인 常道와 權道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전제이다. 이 전제에서 출발하여 정조가 성리학적 정치이념의 양면성을 어떤 논리로 어떻게 돌파해나갔는지 를 다산의 기록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다산의 기록에 따르면, 정조는 정치적으로 살해당한 사도세자의 친아들이면서 왕위계승자로서는 백부인 효장세자의 아들이라는 이중적 신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臣權을 파편화시키는 실리적인 전략을 사용하였다. 정조가 反正이라는 역풍 대신 개 혁군주로 역사에 기록되고, 이후로 조선이 이상적 유교국가로서 지속될 수 있었던 까 닭도 여기에 있다. 곧 정조의 실리주의적 정치관은 성리학적 질서에 도전하지 않고, 오히려 그 틀 속에서 실리적 전략을 선택하여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해체시킨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Joseon Dynasty(朝鮮) was founded based on the Neo-Confucianism's ruling ideology. Therefore, th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as a ‘nation of the gentry(士大夫)’ where the royal power had been properly contained even under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namely, a nation that established the Neo-Confucianism's order. This means that the Joseon Dynasty put the value of Confucian traditions and publicness of politics on the value ahead of everything.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wo aspects ; one is the indiscriminate principle that the ritual system(禮制) of the Neo-Confucianism's order supported by the Joseon Dynasty as a Confucianism nation was applied to all people and the other is the discriminate norms that we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positions. Furthermore, it analyzed the data focused on how King Jeongjo slipped through the ambivalence of the Neo-Confucianism's political idea. According to the record of Dasan(茶山), King Jeongjo as the son of Prince Sado(思悼世子) who was politically murdered and the successor to the throne with the status of the son of his uncle, Prince Hyojang(孝章世子), fully utilized his dual identity and used a practical strategy to fragmentize divine right. The reason why King Jeongjo was recorded as a reformative king instead of headwind of renovation and could continue the Joseon Dynasty as an ideal Confucianism nation was not because he did not challenge the Neo-Confucianism's system but because he chose a practical strategy in the fr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