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陵墓와 추선 佛事 I : 서악동 고분군과 선도산 아미타삼존불입상 (Amitabha Buddha Triad at Mount Seondo and Silla Royal Tombs at Seo’ak-dong, Gyeonj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신라 陵墓와 추선 佛事 I : 서악동 고분군과 선도산 아미타삼존불입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9권 / 357 ~ 390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본 논문은 7세기 전반과 650년 전후, 그리고 661~663년 등 그간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어 온 선도산 아미타삼존불의 제작 시기를 능묘의 조영과 관련하여 재고한 글이다. 양식분석에 따른 기존 접근법의 한계를 인정하는 한편, 상의 지리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해 산의 정상에 6m가 넘는 대불을 조성할 당위성이 가장 높은 시기로 김춘추가 왕위에 오른 시기, 즉 무열왕 재위기(654~661)를 제시했다. 여기에는 선도산이 6세기 전반 법흥왕 이래 신라 중고기 왕의 능역으로 사용되었지만, 7세기 전반에는 왕릉의 입지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 그러나 654년 김춘추의 즉위 이후 다시금 왕의 능역으로 선택되었다는 점이 주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생전에 수릉을 축조하는 관례와 문흥대왕으로 추존된 김용춘의 묘를 이장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선도산을 다시 능역으로 선택한 것을 무열왕대로 추정했으며, 산의 정상에 그 아래 왕릉들을 조망하는 방향으로 대형의 아미타상을 세운 것 역시 같은 시기일 것으로 보았다. 그에 따라 상의 제작은 그 아래 묻힌 중고기 왕들의 명복을 비는 추선 불사로서의 목적도 있지만, 무덤 조영을 통해 법흥왕-진흥왕-진지왕-(문흥대왕)-무열왕으로 이어지는 중대 신라의 새로운 왕계를 보여줄 선도산 일대를 불교식으로 성역화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 주장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investigates the date and meaning of the Amitabha Buddha triad at the top of Mount Seondo in Gyeongju, South Korea in relation to the royal tombs of Silla constructed on the slope of the mountain. While diverse opinions have been proposed as to the date of the imag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tatue was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Muyeol (r. 654~661), for the commemoration of his direct ancestors who were buried in the royal tombs of the mountain. I also argue that the presence of the gigantic Amitabha statue that measures almost six meters high and faces the royal tombs below reshapes the mountain as the Western Paradise of the deity, and thus makes the area where the Silla kings and aristocrats were buried sacred. In order to suggest these opinions, this paper first admits the limitation of the previous approach to the date of the statue which has its basis on the stylistic analysis. Instead, this paper tries to consider the statue’s geographic and historical contexts and search for the most reasonable date for the creation of the gigantic statue on the top of the mountain. The fact that Mount Seondo began to be used as the precinct of the royal tombs since King Beopheung (r. 514~540), but that the tradition ceased in early seventh century as the tombs of King Jinpyeong (r. 579~632) and his successors were constructed in other places serves as the significant evidence. The pattern makes the choice of the mountain as the location of royal tombs again in the mid seventh century quite intentional, reinstating the mountain as the showcase for the royal lineage from King Beopheung to Muyeol. Considering the contex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Amitabha triad on the top of the mountain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yal tombs below was created in the same period when Mount Seondo was chosen again, possibly as a part of the grand project run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Muye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