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生命尊重思想 (The Life Respect Thought Appearing in 'Gwanseeumbosalmyoeungshihyeonjejunggamro')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生命尊重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14권 / 297 ~ 323페이지
    · 저자명 : 차차석

    초록

    이 논문은 1877경 편찬된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생명존중사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책은 동대문 밖에서 일군의 재가자들이 모여 만든 妙蓮社라는 불교적 신앙결사체의 산물이라 평가할 수 있다. 유교적 가치가 지배한 조선시대 말기에, 불교적 가치에 입각한 수행과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는 내용의 책이 편집되었다는 것은 매우 유의미한 사건으로 평가할 수 있다. 조선말기의 불교계는 암흑기였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 책은 동북아 불교사상의 핵심인 화엄사상과 선사상의 바탕 위에서, 법화사상과 관음신앙을 독자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물론 그 밑바탕에 윤회론과 연기론이 내재되어 있지만, 불성론에 의거해 만물의 존귀함과 일체 존재의 평등을 강조하는 것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살생이나 육식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으며, 편견과 무지를 버릴 때 만물을 사랑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생명에 대한 존귀함과 평등을 강조하는 내용은 『능가경』이나 『사분율』, 『범망경』 등과 상통한다. 이러한 경전들은 전통적으로 동북아불교권에서 중요시했던 경전들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화엄과 선사상의 논리적 토대 위에서 법화사상이나 관음신앙을 융합해 이해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불살생의 사상적 연원은 『숫타니파타』의 아힘사나 박애사상에까지 소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법화사상에 의거해 일체 존재를 보살의 화신이라 간주하고 대소사를 여래의 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하는데, 그 논리적 바탕은 불성론에 의거한다. 그리고 불성론에 의거해 많은 사람들에게 수기를 주고 있다. 수기를 준다는 것은 구원의 보편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법화사상의 특징을 독자적으로 이해한 결과라 볼 수 있다. 수기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바로 불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 보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the life respect thought appearing in 'Gwanseeumbosalmyoeungshihyeonjejunggam- ro', which was compiled in around 1877. It can be evaluated that this book is a product of a Buddhist faith association called "Myoryeonsa", which was made by a group of the ratifiers by gathering outside the Dongdaemun Gate. The fact that the book with the contents that emphasize the practice based on the Buddhist values and the social practice had been edited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which the Confucian values had dominated, can be evaluated as a very meaningful incident. It is unusual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the Buddhist circle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had been in a dark age.
    This book has been independently understanding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 and the Avalokitesvara belief above the background of the flower garland sutra and the Zen thought, which are the cores of the Buddhist thought in Northeast Asia. Although, of course, the theory of samsara and the theory of acting are inherent in the foundation, there is no choice but to evaluate that the emphases of the nobility of all things and the equality of all of the existences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nature of Buddha has the value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very much. As a result, the killing and the meat diet have been extremely guarded against. And it emphasizes that one can love all things when throwing away the prejudices and the ignorance.
    The content that emphasizes the nobility and the equality of life has the commonalities with the 'Lankavatara Sutra', 'Sabunyul', the 'Brahmajala Sutra', etc. Such scriptures are the scriptures that had considered the Northeast Asia Buddhist sphere as being important traditionally. However, in this book, the special feature is the point that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 and the Avalokitesvara belief have been understood by fusing them above the logical foundations of the Avatamska and the Zen thought. And the regional limitation can be overcome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the ideological origin of ahimsa can be retroacted to the ahimsa or the humanitarian idea of Sutta Nipata.
    In this book, according to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 all of the existences are regarded as the incarnations of the Bodhisattva. And it says that the recognition of the matters great and small as the work of the Buddha is needed. The logical background is according to the nature of Buddha. And, according to the nature of Buddha, the sugis have been given to a lot of the people. Giving a sugi means the universality of the salvation. And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result that independently understoo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Thoughts of the Lotus Sutra'. It is seen that being able to receive a sugi is, indeed, because the nature of Buddha has been poss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