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墓誌銘에 나타난 宗親職制 운영 (A Study on the Operation Practice of the Official Tittle for Royal Relatives found on Epitaphs in 16th Jose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10
39P 미리보기
조선전기 墓誌銘에 나타난 宗親職制 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79호 / 53 ~ 91페이지
    · 저자명 : 강제훈

    초록

    본 논문은 『경국대전』의 종친 관련 규정이 법 규정이 만들어진 직후 시점인 16세기에 얼마나 안정적으로 운영되었는지 추적한 글이다. 『경국대전』의 종친직 규정은 당시의 사회 관행과는 달리 중국의 종법에 근거하여 부계 친족과 적장자의 지위를 강조하는 법이었다. 당시 종친의 혼인 형태와 가계 계승이 과연 법 규정이 의도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는지 추적하였다. 조선 사회의 친족 구조는 결국 부계 중심으로 구성되게 되는데, 조선의 왕실은 그 선구적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본 연구는 그러한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시도였다.
    본 논문에서 채택한 방식은 16세기 묘지(명) 자료를 이용하여 관련 사실을 추적하는 것이었다. 국왕의 손자와 증손에 해당하는 2-3세대 종친은 연대기 자료에서 잘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마침 공개된 몇 편의 묘지(명) 자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종친의 종친 직 제수 상황과 자녀관계 및 그들의 혼인 대상을 검토할 수 있는 자료이다. 개별 묘지(명)에 개입될 수 있는 미화 혹은 왜곡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연대기 자료 외에도 『선원록』 자료를 보완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논문의 검토 결과 종친 직은 『경국대전』에 규정된 바와 같이 국왕으로부터 4세대에 이르는 시점까지 정6품 이상의 해당 직을 제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적장자에 의한 습직 규정은 잘 준수되지 않았다. 적장자 습직을 관철하기 위해 養子를 통한 가계 계승이 가능하였지만, 당시는 妾子가 있는 경우에는 사실상 적장자 습직을 포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아울러 적자와 첩자의 차등 규정은 적처의 신분에 결함이 있는 경우 잘 준수되지 않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세대 간의 降資나 양첩 혹은 천첩 소생의 차등 규정은 4세대 종친 직 제수 원칙을 지키기 위해 포기될 수 있는 사안임을 검토하였다. 즉 4세대까지의 종친은 모두 종친 직 제수의 대상이었고,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 세대간의 降資나 출생 신분에 따른 降級의 원칙은 포기되었다. 결론적으로 부계혈족과 적장자의 지위를 강조한 『경국대전』의 종친 직 규정은 16세기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경향이 17세기 이후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보류하였다. 부계친 중심의 사회가 형성되었던 17세기 이후 조선 사회에서 종친 직의 운영이 어떠하였는지는 별토의 검토가 필요한 과제로 판단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at the analysis of the stability of regulations for royal relatives in National Code.
    The founders of Joseon tried to change the traditional buddhist Koryo into the confucianized Joseon. The treatments for transformation encountered the stubborn resistance from traditional practice. Finally the steading efforts for 200 years and more made Joseon society being confucian. The attempts for change and the resistance keeping tradition showed well what the Joseon society was. The transformation for confucian society changed the family structure of Korea into the parent one type pointing up the paternal line, which keeping up till today.
    Royal household took the lead of changing toward the confucian society. A study on the official tittle for royal relatives tells the role of royal household for change into being confucianized. National Code(經國大典) in Joseon had the regulations for official tittles only applying to the royal male relatives with the same family name, Lee(李). There were several rules to put emphasis on the paternal relatives, which differed with the convention of daily life in that time. Recently several personnel Epitaphs for royal family members in 16th Century Joseon were introduced through museum exhibition. These showed the different practice with the National Code Regulations for royal relatives. This article tried an attempt to set the epitaphs' content against regulations of National Code and ascertained the unstability of those regulations for royal relatives in 1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