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고학으로 본 진⋅변한 시기의 ‘왕묘’ (The King’s Tomb of Jin⋅Byeon Han Period from the Archaeological Perspectiv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5.03
22P 미리보기
고고학으로 본 진⋅변한 시기의 ‘왕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127권 / 127호 / 67 ~ 88페이지
    · 저자명 : 정인성

    초록

    한국사의 무대에서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가 되면 청동무기를 집중 부장한 무덤이 등장한다. 무덤의 위계화도 현저해진다. 최근 경산지역에서 발굴된 양지리 1호묘도 그러한 사례인데 국제 교역을 암시하는 중국계 유물과 일본계 수입품이 다수 부장되었다. ‘왕묘’와 ‘왕릉’을 개념 정의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무덤들은 ‘왕묘’라고 분류할 수 있는 수장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고고학에서는 삼국시대 이전 소국시기의 수장묘를 ‘왕묘’라고 부르는데 대단히 보수적이다.
    고고학에서 ‘왕릉’이라는 용어는 고고학적 허용이 작동하는 명칭이다. 왕에 비견되는 고대국가 단계의 거대한 엘리트 무덤은 ‘왕릉’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한다. 나아가 고대국가 이전 단계에서도 위계화가 진전되고 성별이 암시되며, 나아가 전사(戰士)계급의 존재가 상정되는 엘리트 무덤이라면 ‘왕묘’라고 부를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한 단계 높은 문명과의 대외 교역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진 사회의 엘리트라면 ‘왕’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그 무덤은 ‘왕묘’라고 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한국고고학에서 삼국시대 이전 사회의 엘리트를 왕이라고 부르지 않고 그 무덤을 왕묘라고 하는데 부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그 이유 중의 하나가 일제강점기 연구분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것은 중국 문명에서 멀리 떨어진 일본열도의 문명화를 설명하는 것이 주가 되어 고조선과 삼한사회를 정치적 주체로 인정하고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겨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시대를 동근동역론(同根同域論)의 입장에서 금석병용기라고 설정했던 시기의 연구 분위기에서 탈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어초록

    In Korean archaeology, tombs containing heavily buried bronze weapons appear during the early Iron Age and the Proto Three Kingdom pried. The hierarchy of tombs also becomes noticeable. One such example is Yangji's Tomb No. 1,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n Gyeongsan(慶山) area, and a number of Chinese and Japanese Bronze relics suggesting international trade were buri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at defined the concepts of “wangmyo(王墓)” and “wangneung(王陵)” these tombs can be classified as “wangmyo.” In fact, Japanese archaeology does not hesitate to call many of the Bronze Age burial tombs of the Yayoi period as “wangmyo.” Nevertheless, Korean archaeology calls the burial tombs of the Three Han period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angmyo” and they are very conservative.
    In archaeology, the term “wangneung(王陵)” is a name in which archaeological permission operates. It is said that a huge elite tomb in the ancient state stage that is comparable to a king can be called a “wangneung(王陵)”. Furthermore, there is a study that even in the pre-ancient state stage, hierarchical progress is advanced, gender is implied, and furthermore, if it is an elite tomb in a society where the existence of a warrior class is assumed, it can be called a ‘wangmyo(王墓)’. If you are an elite in a society where foreign trade with a higher civilization has been carried out at all times, you can call it a ‘wang(王)’. Furthermore, the tomb can be called a ‘wangmyo(王墓)’.
    However, in Korean archaeology, the elite of the society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not called ‘wang(王)’, but the tomb is called ‘wangmyo’, what is the negative reason? I think one of the reasons is the influence of Japanese colonial era.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roblem that arose because Gojoseon(古朝鮮) and Samhan(三韓) society were not recognized as political subject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civilization of the Japanese archipelago far from Chinese civilization. It is important to break away from the research atmosphere that was set as Chalcolithic period(金石竝用期) from the standpoint of ‘The Japan-Korea Common Ancestry Theory(日鮮同祖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