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陳法子 墓誌銘」의 검토와 백제 관제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memorial inscription of Jin Beopja(陳法子))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6
41P 미리보기
「陳法子 墓誌銘」의 검토와 백제 관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4호 / 175 ~ 215페이지
    · 저자명 : 정동준

    초록

    이 글에서는 陳法子 墓誌銘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그 연구사를 정리한 후, 등장하는 백제 관제를 분석하여 그로 인해 새롭게 파악된 사실들을 제시하여 보았다.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진법자 묘지명은 2007년 陝西省 西安市의 大唐西市博物館에 소장되었으나, 洛陽에 서 출토되어 입수경위를 알 수 없는 상태로 구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묘지명은 개석에전서로 3자 3행이 새겨져 있고, 지석에 해서로 25자 24행 총 594자가 새겨져 있다. 특히 묘지명이 天授 2년(691)에 작성되어 지문에 則天文字가 나타나고 있는데, 탁본을 검토한 결과 9종 29자가 확인되었다. 또 진법자의 생몰년을 세밀히 검토한 결과 615년 출생, 690년 사망으로 밝혀졌다. 글씨가 명확한 상태로 남아 있어 석문에 대한 이견은 거의 없었고, 표점을 통해 내용을 단락 구분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 글에서는연구사의 여러 분야 중에서 주로 마련대군장・마도군참사군・기모군좌관・사군 등의 해석에 대해서 다루고자 하였다.
    太學正은 陳春이 565~595년경에 역임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기존의 논의대로 太學의 장관으로 파악되었으며, 武寧王代에 태학이 설치되어 『周禮』의 영향으로 聖王代에太學正이 설치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마련대군장’은 陳德止가 595~615년경에 역임한것으로 추정되었고, ‘大郡’의 군장 또는 군장 3인의 대표인 ‘大郡將’이라고 파악되었다.
    ‘마도군참사군’은 陳微之가 625~635년경에 역임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郡의 군사 관련차관급으로 파악되었다. ‘기모군좌관’은 진법자가 635년 전후에 역임한 것으로 추정되었고, 그의 初職으로서 郡佐와 동일한 군의 민정 관련 차관급으로 파악되었다. ‘稟達郡將’은 진법자가 650년 전후에 역임하였고 재임 당시 관등은 恩率(또는 德率)이었다고 추정되었다. ‘사군’은 진법자가 650년대에 역임하였고, 司軍部의 장관으로 파악되었다.
    태학정은 추정만 되어오던 태학의 존재가 분명해지고 博士 이외의 행정관직으로서正의 존재가 드러났다는 의미가 있었다. 參司軍은 군의 군사 차관으로서 파악되어 기존의 ‘郡將 3인’에 대한 이해에 여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佐官은 군의 민정 차관인 군좌와 동일한 존재임을 분명하게 하였다. 司軍은 최초로 발견된 22부사의 관직명이고, ‘관직명+부’의 형태로 되어 있는 22부사의 경우 ‘앞의 관직명=장관명’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으며, 22부사에서 6좌평-18부로 개편되면서 6좌평과 직무가 중복되는 관사의 장관들이 사실상 차관화되면서 그 비중이 감소하였을 가능성을 엿보게 하였다.
    군장은 黑齒常之 이외에 진덕지・진법자의 임명사례를 추가할 수 있었고, 특히 7세기 초반 이후 군장에 은솔이 임명된다는 원칙의 사례로서 주목되었다. 관직과 관등이원칙대로 1대1로 대응한다는 관계에 탄력적 운영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어서, 앞으로 지나치게 원칙에 얽매여서 1대1 대응으로만 설명하거나 1관등 복수관등제를 설정할 필요는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simply the memorial inscription of Jin Beopja(陳法子: 615~690) and the trend of research about it. Then this article tried to analyzethe Baekje’s government organization in the inscription and show the new fact discoveredwith it. Summary of my research is as follows.
    The memorial inscription of Jin Beopja(陳法子: 615~690) has been housed inDatangxishi(大唐西市) museum of Xian(西安) since 2007. It had been excavated inLuoyang(洛陽) and was bought by the museum. But it is assume that the story of procurewas unknown. There were three lines which consists of three letters per each linewere carved in Zhuanshu(篆書), one ancient style of Chinese calligraphy in the stonelid. Also another 594 letters were carved in the form of 24 lines, which consists of 25letters per each line, in Kaishu(楷書), the square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on thememorial stone. As it was written in 691, 9 kinds of special character created by Zetianwuhou(則天武后: 625~705, ruling as an emperor during 690~705) can be verifiedon the stone. The amount of those letters was 29 letters. According to the stone,Jin Beopja was born in 615 and passed away in 690.
    In this research, I tried to work with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office positionssuch as Daegunjang(大郡將: county governor), Chamsagun(參司軍: military viceministerof county), Jwagwan(佐官: administrative vice-minister of county), Sagun(司軍: minister of military personnel) and so on.
    Jin Chun(陳春), who was great-grandfather of Jin Beopja, took office as Taehakjeong(太學正), which was the president of Taehak(太學: national university), duringthe time between 565 and 595. Taehak was founded during KingMuryeong(武寧王)’speriod(501~523), and Taehakjeong was installed by the influence of Zhouli(周禮)during King Seong(聖王)’s period(523~554) in Baekje. Jin Beopja’s grandfather JinDeokji(陳德止) took office as Maryeon(麻連) Daegunjang, which was the governor of great county or the chief of three county governor, during the time between 595and 615. Jin Miji(陳微之), who was Jin Beopja’s father, took office as Madogun(馬徒郡) Chamsagun, a military vice-minister of county, during the time between 625and 635.
    Jin Beopja took office as Gimogun(旣母郡) Jwagwan, which was the administrativevice-minister of county, around the year of 635. Also he served as Pumdal(稟達) Gunjang(郡將: county governor), which was ranked at Eunsol(恩率: 3rd officialrank) or Deoksol(德率: 4th official rank), around the year of 650. And he becameSagun, which was the minister of Sagunbu(司軍部: bureau of military personnel),during 650s.
    I could suggest various possible way to understand some of government organizationsin Baekje through the research about positions like Taehakjeong, Chamsagun,Jwagwan, Sagun, Gunjang. There might have been mor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between the government post and the official rank in Baekje’s bureaucratic system.
    Also I reasoned that Jin family contributed to build the statue and reorganize the centralgovernment organization in Baekje in this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