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湖南地域 甕棺墓의 變遷 (Changes in Jar Coffins of the Honam Reg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8.10
38P 미리보기
湖南地域 甕棺墓의 變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30권 / 101 ~ 138페이지
    · 저자명 : 오동선

    초록

    본고는 호남지역 옹관묘의 다양성을 설명하고자 형식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옹관의 형식을 세분하고 그 의미를 밝혔다. 옹관 형식변천의 동인은 시신안치의 편리성 증대라는 기능적 속성에 두고 명목형 속성으로 형식분류한 후 연속형 속성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합구관계, 출토유물, 유구중복관계 등을 통해 형식분류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분석결과, 호남지역 옹관묘는 다양한 형식의 옹관이 공존하기도 하고 양식적인 통합이 이루어지기도 하면서 발전한다. 또한 형식에 따라 존속기간이 다르고 지역적인 특징도 강하게 나타난다. 옹관묘의 최초 발생은 고막천 상류지역을 비롯한 영산강 서북부지역으로 추정되며, 이후 영광‧고창 지역과 영산강 동남부지역으로 확산된다. 옹관의 다양한 형태적 속성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신을 안치하는 관으로서 기능이 강조되면서 기형이 U자형으로 단순화되며, 크기는 점차 대형화된다. 이러한 변천 양상은 매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형식 상호간에 강한 관련성이 존재한다. 호남지역 옹관묘는 출토유물을 통해 7기로 세분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발생기(3세기 전중엽~3세기 중후엽)-발전기(3세기 후엽~5세기 전엽)-성행기(5세기 중엽~6세기 초엽)-쇠퇴기(6세기 전엽~6세기 중엽)로 구분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developments the jar coffins of the Honam Region. It's also assumed that the form developements of jar coffins followed the emphasis on the convenience of placing the body according to time.
    The validity of the format categorization; first, the mouse face relations were checked; secondly, the overlapping relations and the construction order among remains at the relics were investigated; and finally, the validity and sequential relations of the format determination were tested by analyzing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jar coffins.
    In conclusion, the jar coffins of the Honam Region first appeared as the jar coffins of the style called the Seonghwangri style in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of the Gomakcheon and expanded to the northwest of the Younggwang‧Gochang and the southeast of the Yeongsan River. In the process, the overall style became simple for the sake of convenient body placement. Those jar coffins were the most prevalent in the midstream of the Yeongsan River. It's estimated that each format of the jar coffins went through the same attribute changes involving the simpler style for body placement and the changing process of birth, development, prevalence, and decline. Those changes were not independent from each other but organic and well reflected i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formats of the jar coffi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