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柳墩墓誌銘」과 「金坵墓誌銘」의 비교 고찰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You Don Bimyung and Kim Gu Bimyu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柳墩墓誌銘」과 「金坵墓誌銘」의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7호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백미나

    초록

    이 연구는 고려시대 작품인 柳墩 墓誌銘과 金坵 墓誌銘의 서사구조를 분석한다. 이들 작품의 서술 양상의 편차는 고려시대 묘지명의 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다. 전자는 전체 분량의 절반 정도를 인물이 歷任한 官職을 나열하는데 할애한다. 官歷을 서술하는데 초점을 둔 官歷 중심의 구성 방식이다. 후자는 서두와 말미 부분에서 撰者의 논평을 서술하는 議論 중심의 구성 방식이다. 인물의 官歷을 빠짐없이 서술하는 방식과 撰者의 논평을 직접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은 묘지명에서 흔히 보이는 구조이다. 그러나 서술 방식의 미묘한 차이를 통해 작품의 성격이 어떻게 달리 표현되는지 알 수 있다.
    유돈 묘지명의 서사구조는 姓名-祖上-官職-行蹟-죽음-家系-妻子孫-人物評 등이다. 본문의 중심 내용은 年度-官職-行蹟의 구조이며 그 의미는 관리로서의 능력을 강조한다. 김구 묘지명의 서사구조는 서술평-姓名, 父母-官歷, 능력-人物評-請銘-죽음-妻子孫-論贊 등이다. 두 작품 모두 墓主의 행적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순 나열로 이루어져 있다. 인물이 일생 동안 겪은 행적을 서술함에 있어서 인과적 논리성을 배제한 채 사실적 일화들을 중심으로 전개하다 보니 이야기 위주의 서사체에서 보이는 사건 간의 긴밀성은 떨어진다.
    공통적 구성 요소는 姓名과 生沒年度, 家系와 妻子孫, 官歷 등이 있다. 이는 묘지명의 필수적 요소이자 실용성과 역사성을 담보해주는 사실적 요소이다. 한 인물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며, 개인 자체의 개성적인 행적보다 집단 속에서 개인의 자리 매김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 관념을 드러낸다. 姓名과 生沒年度는 인물의 시작과 끝을 알리며, 실존 인물의 일생을 서술하는 출발점이자 종착점의 역할을 하며, 家系와 妻子孫과 대칭구조를 이룬다. 이름과 죽음은 개인적인 삶의 시작과 끝을, 姓氏와 子孫은 집단적 삶의 시작과 끝을 알려 주며, 각각 작품의 서두와 말미를 장식한다. 官歷은 개인의 삶을 표현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다룬다. 인물이 歷任한 官職과 하사 받은 날짜를 빠짐없이 기록하는데 그 이유는 중세시대 지배계층에게 있어서 관직은 곧 자신의 신분과 사회적 지위를 가늠하는 수단이며, 墓主의 功은 드러내고 過는 숨긴다는 墓誌銘의 취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Eastern literatur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literature. Bimyung emphasizes practicality and history and analyzes how these are expressed in their work. The realistic factors considered are the name,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Their work shows existent historical figures. The realistic constructive elements considered are a person's list, family history, and history of public appointments. Regarding fictional constructive elements, conception, expressive technic, autobiographical factors and lifetime achievements are studied. I searched the principle of historical, descriptive literature of Goryeo Bimyung by analyzing works based on actual figures. The characteristics include emphasized extensity, reiterated structure, demonstrated description, preservation and communicative senses.
    In the Korean culture, name and death are the beginning and the end. Naming a newborn child is the beginning of being recognized as a human, a necessary factor for life. Similarly, ancestors and descendants are symmetrical.. Holding a government office is most important in expressing an individual’s life, as it is a means of representing status and social class. The structure is the name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 public. This narrative structure is analyzed in You Don Bimyung and Kim Gu Bimyung, highlighting these characteristics. A person's life is a connection of realistic components. Little causality is seen in fiction. It depends on the passage of time as there is no close connection between ev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