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백 주체의 발견: 자크 라캉의 무의식 주체와 율곡 이 이의 성심지묘(性心之妙) 주체 (The Discovery of the Void Subject: Jacques Lacan’s Subject of the Unconscious and Yulgok Ii’s Subject of Seong-Sim Ji Myo(性心之妙))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46P 미리보기
공백 주체의 발견: 자크 라캉의 무의식 주체와 율곡 이 이의 성심지묘(性心之妙) 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철학 / 35호 / 105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근현대 철학의 핵심 키워드는 ‘주체’와 ‘(대)타자’이다. 근대 의식 주체는, 명석 판명한 확실성 위에 정립된 자아이고, 선험적 형식에 따라 타자(현상의 감성세계)를 구성하여 종합 판단하는 통일적 자아이고, 그리고 자기 원인이면서 동시에 그 결과로서자기 스스로를 정립하고 타자를 정립하는 능동적 절대 자아이다. 이를테면 자기 동일성에 기초한 근대 의식 주체는 자기 자신은 물론 타자의 세계를 정립하는 주체이다.
    ‘타자의 주체화’이다. 그러나 소쉬르의 언어학에서 비롯된 구조주의 및 후기 구조주의라는 철학적 사조 이후 근대 의식 주체는 오히려 타자, 말하자면 언어적 상징 질서(사회 구조)의 대타자에게 호명되어 자신의 시니피앙을 부여받아 주체화 된다. 이때주체는 그 구성은 물론 그 욕망까지도 대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바, 상징 질서에 종속된 줄도 모르고, 부여받은 시니피앙의 위임된 역할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면서 대타자의 인정을 욕망한다. ‘주체의 타자화’이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근대 의식 주체의 ‘타자의 주체화’와 주체 해체의 경향을 갖는 구조주의 및 후기 구조주의의 ‘주체의 타자화’라는 철학적 아포리아에서 공백 주체를 발견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자크 라캉의 무의식 주체의 실재적 결여와 상징적 결여에 기초한 소외와 분리의 변증법적 과정을 탐사한 후, 이 탐사를 율곡 이이의 성심지묘 주체의 미발적 차원(라캉의 실재적 결여)과 정·의·지(情意志)의 이발 차원(라캉의 상징적 결여)에 연관시켜 창조적으로 해석한다. 자크 라캉의 무의식 주체와율곡 이이의 성심지묘 주체를 통해 발견한 공백주체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그 실재적 결여의 탐사에서는 근대 의식 주체는 통일적이며 능동적인 자기 정립적 절대 자아가 아닌 자기 존재를 결여한 분열적인 공백 주체임을 드러낸다. 그리고 상징적 결여의탐사에서는 대타자의 상징계에 대한 응답으로서 시니피앙의 연쇄에 종속된 수동적인자기-소외 주체가 그 연쇄가 자신의 실재적 결여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고, 대타자와분리함으로써 자신의 결여된 실재에 응답함으로서 자기 존재를 창조하는 저항과 자유의 공백 주체를 논증한다.

    영어초록

    The key words of modern-contemporary philosophy are the ‘subject’ and the ‘(O)other.’ The modern subject of consciousness is an self identified(transparent) ego established on clear and distinct certainty, a unified ego that synthetically judges the other (the sensible world of phenomena) constituted by its a priori form, and an active absolute ego that set ups itself as self-causality and forms the other. That is, the modern subject of consciousness made up on self-transparency is the subject that establishes the other as well as oneself. It is the subjectivation of the (O)other. However, after the philosophical flow of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derived from Saussure’s linguistics, the modern subject of consciousness is rather interpellated by the field of the Other, the order of symbolic signifiers(social structure), and get to be the subject with one of the signifiers. Now the subjectivated subject(the subject of signifier) desires the desire of the Other and the Other’s recognition on taking a delegated role of its own signifier by without knowing that it is subordinate to the symbolic structure. It is otherizstion of the subject.
    In the philosophical aporia, the two extremes between the subjectivation of the (O)other and the otherizstion on the subject, this study would discover a void subject. Methodically, after exploring the dialectical process of alienation and separation folded on Jacques Lacan’s the notion of real lack and symbolic lack in the subject of the unconscious, this exploration is creatively interpreted in relation to Yulgok Ii’s unissued dimension(Lacan’s real lack) and the issued dimension(Lacan’s symbolic lack). The point is that the exploration on the real lack would disclose the void subject that gets the modern subject of consciousness not to be self identical, unified, and active absolute self, but untransparent and divided subject; and the one on the symbolic lack would demonstrate the void subject that the passive self-alienated subject subordinate to the field of the symbolic begins to separating from its own relation of the field by knowing that the symbolic consists of the real lack of the divided subject, and proceeds to extremes where the alienated subject gives birth to its own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