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Aspects of the Meaning of Taoist Elements in “Monggyunjesuk”(夢見帝釋) in the Korean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12
26P 미리보기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의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52호 / 51 ~ 76페이지
    · 저자명 : 문려화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 근대 계몽기 소설 「몽견제석(夢見帝釋)」에 나타난 도교적 화소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몽견제석」은 최근에 발굴된 신자료로, 김수연의 연구가 유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의 도교적 화소에 집중하여, 도교의 인물화소인 신선과 공간화소인 선경, 그리고 도교 문학적 화소를 고찰했다. 도교 인물을 대표하는 악전과 안기생은 채약사로서 치병과 관련되며, 도교적 공간인 십주, 곤륜산, 봉래 등 선경은 신선 세계이자 평화롭고 자유로운 대안세계이다. 도교 문학을 대표하는 이하와 「백옥루」 고사는 초현실적인 상상력으로 현실에서 불우한 지식인 들의 운명을 통해 당시 시대상황에 대한 위로를 보여주었으며,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차용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하는 사상과 평화로 나아갈 길에 대한 모색을 보여 주었다. 애국계몽시기 몽유록계 소설인 「몽견제석」에서 도교적 화소와 사상 등의 차용은 조선 후기 주자성 리학의 균열과 함께 지식인들이 새로운 사상적 이념으로 도교 사상의 수용했던 정황을 보여주었으며 조선 말기 현실 사회의 해결방안, 아울러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한 고민과 지향을 보여 주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aoist elem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novel "Monggyunjesuk". "Monggyunjesuk" was recently discovered, and has so far only been studied by Kim Soo-yeon. In this paper, I mainly analyzed the Taoist elements including supernatural beings, fairylands and the Taoist literature of the text. Among them, Taoist supernatural beings Wo quan and Ahn Ki-saeng are herbalists who cure diseases, and the Taoist fairylands such as Shizhou, Kunlun Mountains, and Penglai Mountain are peaceful and free alternative worlds. These Taoist elements demonstrate the immortality of Taoism and orientation toward an ideal and stable world. In this sense, they show the consolation for the times through the fate of intellectuals less fortunate in reality by borrowing supernatural images from Taoist poet Li He’s White Jade and also reflects the quest for seeking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borrowing Tao Yuanming’s Kuei-Chu-Lai-Tzu. The Taoism of "Monggyunjesuk", a Mongyurok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reveals the cracks in Zhu Xi‘s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ituation in which intellectuals embraced Taoism as a new ideology. "Monggyunjesuk" reflected the intellectuals suggestions of solutions for the real societ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their concerns for the future through Tao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