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의 문학적 전유를 통한 문명전환기 미래사 구축의 장, <몽배금태조> (, a Place for Future History Construction by Literary Appropriation of Histo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역사의 문학적 전유를 통한 문명전환기 미래사 구축의 장, &lt;몽배금태조&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소설연구 / 38호 / 431 ~ 46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연

    초록

    박은식의 1911년 작 <몽배금태조>가 인식하는 20세기 초는 동ㆍ서와 신ㆍ구의 문명이 교체되는 전환기이다. 이는 서양ㆍ신(新)에 의한 동양ㆍ구(舊)의 계몽과는 조금 다른 시각을 반영한다. 계몽은 계몽의 주체와 대상을 우열관계에 두고 바라본다. 그러나 문명의 교체와 전환은 계몽이 전제하는 우열의 가치를 배제하는 객관적이고 역사적인 현상이다. 박은식은 20세기 초에 경험한 문명교체가 계몽과 발전을 주장하지만 도리어 살벌하고 잔혹한 강권주의를 가져왔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오늘’의 강권주의를 극복하고 ‘내일’의 미래사를 구축하는 방안으로 ‘역사’를 강조했다. 그가 교육, 특히 역사교육을 강조한 이유는 ‘계몽’을 위해서가 아니라, 문명의 교체와 전환이 역사적으로 반복되어 온 현상임을 확인토록 하기 위해서이다. <몽배금태조>에서 거론하는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은 동ㆍ서양에서 반복되어온 문명전환기의 모습과 그에 대한 대응들이다. 이를 통해 그는 독자들에게 지금의 고난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으리라는 확신을 주며, 더불어 적극적으로 내일을 준비할 수 있는 마음을 다지게 하려는 것이다.
    <몽배금태조>가 시도하는 역사의 문학적 전유는 확인가능한 현재의 불안을 극복하고 불확실한 미래사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박은식은 고소설 양식을 통해 우리가 처한 시대가 문명전환기임을 진단하고 역사적 사실들을 동원해 향후 시대를 어떻게 설계할지 제안한다. 그는 역사를 통해 동ㆍ서 문명의 교체 과정에서 야기된 강권주의 또한 머지않아 다시 평화주의로 전환될 것임을 확신한다. 그가 문명과 패러다임의 전환이 맞물려 있는 전환기의 ‘오늘’, 고소설을 소환한 것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막연한 미래사를 구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역사적 사실은 또렷하지만 미래사의 구획은 꿈처럼 모호하다. “꿈의 경지에서 진정을 구하면 우리의 영명(靈明)이 천지의 신명(神明)으로 감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결말의 언술은 이를 드러낸다. 꿈의 경지에서 구한 진정과 우리의 영명과 천지의 신명이 만나는 자리, <몽배금태조>가 시대의 진실을 담아내고 새로운 역사의 진정한 주인이 되기를 제안하기 위해 소설을 소환한 것은 이 때문이다.

    영어초록

    1911 novel, <Mongbaegeum Taejo> by Park Eun Sik, regards early 20th century as a turning point of east and west, old and new civilization. This reflects a little different view from enlightenment of the Orient(the old) by the west(the new). Enlightenment brings host and guest of it into unequal relations. Replacement and change of civilization, however, is a objective and historical phenomenon, excluding unequal relations of enlightenment. He diagnoses that civilization replacement in early 20th century causes a combative and cruel authoritarianism not enlightenment and development. And he emphasizes that history can overcome today's authoritarianism and construct tomorrow's future history. He especially emphasizes history education not because for enlightenment but conviction that replacement and change of civilization has been recurring through history. Large numbers of historical events expressed in <MongbaegeumTaejo> are images of civilization exchange repeated in East and West, and its correspondence. This gives us conviction that today's suffering won't last forever, and additionally, make us prepare for tomorrow actively.
    Literary appropriation of history which <MonbaegeumTaejo> attempts is to overcome current traceable anxiety and is to construct a definite future history. Park Eun Sik suggests that, through classical novels, this epoch of ours is a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and how we can shape our next era, using historical facts. He is confident that authoritarianism caused by East and West civilization replacement throughout history would be diverted into pacifism. 'Today', interlocking time of shift of paradigm and civilization, it is for solving the problem of construction indefinite future history based on historical facts that he summons the classical novel. Historical facts are clear, but planning future history is vague like a dream. The end of this novel, "If you look for the truth in the stage of dream, our clear mind (YeongMyeong, 靈明) can lead down to Heaven God." reveals it. <MongbaegeumTaejo>, the meeting place of the truth from the stage of dream, our clear mind, and Heaven God, summons novels. It's because <MongbaegeumTaejo> wants to include truth, and to suggest to be a true master of new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