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몽 민속과 구비서사에 나타난 까마귀 상징의 양가성 고찰 (A Study on the Ambivalence of Crow Symbol in Folklores and Oral Narratives in Korea and Mongoli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6
24P 미리보기
한・몽 민속과 구비서사에 나타난 까마귀 상징의 양가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69권 / 151 ~ 174페이지
    · 저자명 : 이안나

    초록

    본 논의에서는 한‧몽 두 나라의 까마귀의 상징적 의미 및 그 양가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두 나라 민중들의 까마귀에 대한 인식을 일별해 보고자 했다. 까마귀는 두 나라 모두 흉조로 부정적 이미지가 강한 새로 자리하지만, 원래 까마귀는 기층신앙인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신조요, 길조의 상징성을 가져왔다. 한국에서는 태양새 삼족오의 관념이 문화의 중요한 의미를 지녀왔으며, 몽골에서는 태양새의 관념은 존재하지 않으나 천신, 신령의 사자 및 통역사, 신령의 화신, 수호신 등의 역할을 해왔다. 한국에서도 샤머니즘을 배경으로 천신, 신령의 사자, 저승차사, 수호적 존재 등의 유사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까마귀는 두 나라 설화 속에서 소식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 주로 등장하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까마귀가 신령한 영적 사신이라는 고대 관념에서 파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까마귀는 흑신적 존재로 재앙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강한 힘과 검은색 이미지, 우는 소리 등으로 불길한 흉조의 양가적 특성을 띤다. 이것은 속신 등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까마귀의 우는 소리는 때나 시간, 방향, 장소 등에서 각각 예조하는 바가 다르며, 한국에서는 대개 불길한 것을 나타내고, 몽골에서는 대체로 불길하지만 중립적이거나 길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까마귀는 몇 가지 차이는 있으나 두 나라 모두 길흉, 선악의 양가적 특성을 띠는 면에서 유사하며, 기본적으로 샤머니즘을 바탕으로 그 인식이 변천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ymbolic meanings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a crow in Korea and Mongolia, and thus understand the concepts of the bird among people in these two countries. The crow has a strong image due to its ill omen both in Korea and Mongolia, but it originally held the symbolism of principle and good omen based on the traditional faith of shamanism. In Korea, the concept of a sun bird with three feet held important meanings in the culture. In Mongolia, there was no concept of a sun bird for the crow, but it played its roles as a heavenly god, envoy of a deity, interpreter of a god, incarnation of a deity, and guardian. In Korea, the crow also played similar roles as a heavenly god, envoy of a mountain spirit, grim reaper and protecting being against the backdrop of shamanism.
    In both these countries, the crow often appears to deliver news or information in tales, which derives from an ancient idea that the crow is fundamentally a divine spiritual envoy. The crow has ambivalent characteristics, preventing disasters as a dark god and also serving as an unlucky ill omen due to its strong power, black image, and crying sound. In many folk beliefs, the crow predicted different things according to the occasions, times, directions, and places of their cries. In Korea, the crow generally represented something ominous. In Mongolia, it represented something neutral or lucky, in addition to something ominous in general. The crow is similar in Korea and Mongolia for its ambivalent characteristics between good omen and ill omen and between good and evil despite some differences, and perceptions of the crow have changed basically based on sham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