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극의 몸에 드러나는 재현과 현존의 양가적 의미 고찰: 수잔 누스바움의 No One as Nasty와 마티나 마이옥의 Cost of Living을 중심으로 (The Disabled Body and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and Presence in Susan Nussbaum’s No One as Nasty and Martyna Majok’s Cost of Liv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04
26P 미리보기
장애극의 몸에 드러나는 재현과 현존의 양가적 의미 고찰: 수잔 누스바움의 No One as Nasty와 마티나 마이옥의 Cost of Living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미드라마 / 33권 / 1호 / 5 ~ 30페이지
    · 저자명 : 김다산

    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body in disability theatre, primarily focusing on its performativity. Disability theatre has only recently come to scholarly attention. Because disability dramas emerged with the ris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s in the 1960s, early scholars mostly concentrated on identity politics—sometimes in a humanitarian effort to “properly represent” disabled persons in forging a group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Susan Nussbaum’s No One as Nasty (1995) and Martyna Majok’s Cost of Living (2016) with a slightly different focus. This study starts with the observation that performativity is critical to discourse on disability, after which it examines the two plays within the framework of performance theory. Although the plays are set apart by 20 years, they share meaningful commonalities in that they highlight the indispensable relation between the disabled body and theatricality. As the two plays develop, they address the ontological dilemma that postdramatic theatre faces—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and presence. The 2000 performance of No One as Nasty featured a non-disabled actor who underwent a rigorous training to “realistically represent” disability. The play further delves into theatricality by staging imaginary figures with whom other “real” characters interact. Although Cost of Living featured disabled actors, the kind of disability characters have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the actors have, which brings us back to the question, “Is the disabled body on stage representation or presence?” Through a careful comparative analysis, I will identify the moment wherein the disabled body in both plays ceases to function as a referential sign.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the body in disability theatre, primarily focusing on its performativity. Disability theatre has only recently come to scholarly attention. Because disability dramas emerged with the rise of the civil rights movements in the 1960s, early scholars mostly concentrated on identity politics—sometimes in a humanitarian effort to “properly represent” disabled persons in forging a group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Susan Nussbaum’s No One as Nasty (1995) and Martyna Majok’s Cost of Living (2016) with a slightly different focus. This study starts with the observation that performativity is critical to discourse on disability, after which it examines the two plays within the framework of performance theory. Although the plays are set apart by 20 years, they share meaningful commonalities in that they highlight the indispensable relation between the disabled body and theatricality. As the two plays develop, they address the ontological dilemma that postdramatic theatre faces—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and presence. The 2000 performance of No One as Nasty featured a non-disabled actor who underwent a rigorous training to “realistically represent” disability. The play further delves into theatricality by staging imaginary figures with whom other “real” characters interact. Although Cost of Living featured disabled actors, the kind of disability characters have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the actors have, which brings us back to the question, “Is the disabled body on stage representation or presence?” Through a careful comparative analysis, I will identify the moment wherein the disabled body in both plays ceases to function as a referential 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