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V 코미디 프로그램에 나타난 운동하는 여성의 몸과 다이어트에 관한 사회문화 담론 (Socio-cultural Discourses of Exercising Female Body in TV Comedy Program)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10
10P 미리보기
TV 코미디 프로그램에 나타난 운동하는 여성의 몸과 다이어트에 관한 사회문화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1권 / 5호 / 75 ~ 84페이지
    · 저자명 : 조성식, 이수연

    초록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한 장르인 TV 코미디 프로그램의 웃음생성 전략코드로서의 운동하는 여성의 몸이 가지는 함축적인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BS-2 TV 개그콘서트의 '헬스걸' 코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해석적 텍스트분석과 관련문헌 및 기사내용이 2차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본 코너를 둘러싼 사회문화 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운동실천과정에 개입되는 지배적 남성권력 즉, 여성들에게 부과되는 이상적인 미의 기준이 여성에 대한 통제와 억압을 통해서 구성되었다. 둘째, 과도한 운동주의의 개입 다시 말해, 단기간의 체중감량을 위해 여성의 몸이 다이어트의 실험대상 혹은 훈련대상으로 인식되어 과도한 운동프로그램이 경험되고 있다. 셋째, 체중감량 여부에 따른 감시와 죄의 면죄부로 체중계를 통해 우리 몸을 심판의 저울 위에 올려놓고 사회가 인정하는 몸의 통과 여부를 판정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미디어를 통해 관리되고 통제되는 여성의 몸과 다이어트는, 사회의 올바른 성역할 관계와 여성의 인권 및 건강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d the socio-cultural discourses of exercising female body and diet in TV comedy program, entitled in 'Gag Concert, Health Girl'. To do this, interpretive textual analysis and document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dominant male power on female exercise was exposed and represented naturally. In other words, the ideal beauty standard for female was applied through control and manipulation by male trainers. Second, the extreme athleticism was intervened so that female body was recognized as the test object or hard training target and that females experienced excessive exercise on diet during the short term. Third, female bod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weight loss, was monitored and judged as a confession of sin; the big weight loss was regarded as a great effort to get away with what she had been fat. Finally female body and diet that are managed and controled by media need to be critically redefined in terms of socially equitable gender roles, and female's human rights and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