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열당한 몸의 발생론―김수영의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Theory of Censored Body—Focused on Kim Soo-young’s poem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2
34P 미리보기
검열당한 몸의 발생론―김수영의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87호 / 223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호성

    초록

    김수영은 1921년생으로 식민지 조선과 해방기, 한국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이다. 격동하는 시간 속에서 지배 권력은 매번 모습을 바꾸어 개인을 억압하였고 이는 고스란히 검열이라는 모습으로 그의 글에 드러난다. 그의 전반적인 시세계에서 억압에 대한 공포와 무기력함, 분노, 저항이 드러나는 것은 바로 이러한 경험을 겪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그의 시가 하나의 사상, 정치 체제 아래에서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육체로 외부 세계를 품고 육화시켜 한 명의 사회적 구성원으로 살아냄을 의미한다. 즉 식민지 시기에 고등교육을 받았고 아직 사회제도가 정비되기 이전인 해방기에 청년기를 거쳐 1950년대에 30∼40대 장년층이 되었던 세대로, 주로 정식적 교육제도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기보다는 주로 ‘책’을 통해 이를 습득했던 그가 당시 반 사회주의 담론으로부터 시작된 검열을 받아들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작품에 육화해나갔을 것임을 예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본고는 김수영의 삶 전반에 드리운 검열의 양상이 그의 시 텍스트 내부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푸코에 따르면 18세기부터 등장한 신체에 대한 새로운 권력 형태인 규율 권력(pouvoir disciplinaire)은 개인의 모든 활동 범위를 체제에 알맞게 규범화하여 ‘복종하는 신체’로 만든다. 이 반복적인 ‘훈련’으로 인해 신체는 자기 자신을 스스로 억압하고 도식화된 지배관계를 끊임없이 증식해나간다. 결과적으로 개인은 ‘생산하는 동시에 복종하는 신체’를 부여받게 되며, 전체를 위한 ‘유익한 힘’은 곧 ‘검열’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김수영은 검열체제가 생산해 낸 ‘불온성’을 시의 중심으로 끌어들여와 자신 스스로가 ‘불온’해지길 원한다. 그 기저에는 정신과 육체의 불일치, 육체와 육체의 불일치, 시와 육체의 불일치 그 자체를 옹호하는, 이로 인해 역설적으로 시와 몸이 하나가 되는 그의 시적 태도가 놓여 있다. 인간의 몸은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관계 속에서 규정되는 존재이다. 우리는 몸의 감각을 통해서 타자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존재를 설정한다. 몸이라는 공간은 타자에 의해 채워지고 비워지면서 차이를 만들어내고 변화한다. 김수영에게 시는 자신의 몸과 타자의 성질을 동시에 반영한 상태로 드러나는 공간이다. 그는 타자로서 검열을 온몸으로 끌어들여 끝끝내 고통스러워했지만, 그것을 자신의 몸에서 파편화시키고 육화시켜 새로운 주체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이때 발생하는 고통은 타자를 더욱 명확하게 한다. 고통이 새겨 놓은 몸의 균열을 통해, 가려져 있던 검열의 실체를 걷어내고 그 속에서 잠겨있던 타자를 발견하는 것이다. 그의 ‘온몸의 시학’은 검열의 폭력에 저항하는 몸의 정치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Born in 1921, Kim Soo-young is a generation who directly experienced colonial Joseon, liberation period, and the Korean War. In turbulent times, the ruling power changed its appearance every time and suppressed the individual, which is revealed in his writing in the form of censorship. His fear, lethargy, anger, and resistance to oppression are revealed in his overall world of poetry because he has experienced this. This means that his poem is not subordinate under a single idea and political system, but lives as a social member by embracing and emboding the outside world with his own body. In other words, it is not difficult to expect that he, who received higher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became an elderly person in his 30s and 40s in the 1950s before the social system was reorganized, accepted censorship that began with anti-socialism discourse and embodied his work in various way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the pattern of censorship cast over Kim Soo-young's entire life works within his poems.
    According to Michel Foucault, a new form of power over the body that emerged from the 18th century, “pouvoir displinaire”, standardizes all individual’s scope of activity appropriately for the dominant system, making it a “submissive body.” Due to this repetitive “training,” the body suppresses itself and constantly multiplies the schematic dominant relationship. As a result, individuals are given a ‘body that produces and obeys at the same time’, and the “beneficial power” for the whole appears in the form of “censorship”. In the process, Kim Soo-young wants to bring the “disgrace” produced by the censorship system to the center of the city and become “disgrace” herself. On the basis of this, there is a poetic attitude that advocates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body and the body, and this paradoxically leads to the unity of the poem and the body. The human body is defined in a relationship, not in itself. We passively accept the others through our body's senses and establish our own existence. The space called the body is filled and emptied by the others, making differences and changing. For Kim Soo-young, poetry is a space that is revealed in a state that reflects her body and the nature of the others at the same time. As the others, he was in pain by attracting censorship all over his body, but he is fragmenting and emboding it from his body to form a new subject. The pain that occurs at this time makes the others clearer. Through the cracks in the body engraved with pain, the substance of censorship that had been hidden is removed and the others who had sunk in it is found. His ‘Poetry of the Whole Body’ can be said to be evidence that effectively shows the politics of the body against violence of censo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