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여성의 새로운 히스테리, 거식증: 여성의 몸과 욕망 (Modern Female Hysteria, Anorexia: Female Body and Desi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6
25P 미리보기
현대 여성의 새로운 히스테리, 거식증: 여성의 몸과 욕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미문학페미니즘 / 17권 / 1호 / 55 ~ 79페이지
    · 저자명 : 박주영

    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emaciated body of the anorectic presents itself as a caricature of the contemporary ideal of hyper-slenderness for women, an ideal that has become the cultural norm for women today. First, this paper points out how anorexia can be described as the twentieth-century version of hysteria.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orexia from psychoanalytic perspectives. Further, this paper examines how anorexia may provide a paradigm of one way in which potential resistance is not merely undercut but utilized in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existing power relations. Susie Orbach interprets anorexia as a species of unconscious feminist protest in a most articulate and forceful way. The anorectic is engaged in a “hunger strike,” as Orbach calls it, stressing that this is a political discourse. Susan Bordo similarly argues that the anorectic is unaware that she is making a political statement. Through embodied rather than deliberate demonstration, she exposes and indicts those ideals, precisely by pursuing them to the point at which their destructive potential is revealed for all to see. Finally, while many feminist theorists read anorexia as protest or resistance against patriarchal power,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such feminist theoretical arguments, defending Sandra Lee Bartky's notion of anorexia. Bartky analyzes how the anorectic becomes, just as surely as the inmate of the Foucauldian Panopticon, a self-policing subject, committed to a relentless self-surveillance. This self- surveillance is a form of obedience to patriarchy, conforming to the cultural messages that we inscribe upon our own bodies.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the emaciated body of the anorectic presents itself as a caricature of the contemporary ideal of hyper-slenderness for women, an ideal that has become the cultural norm for women today. First, this paper points out how anorexia can be described as the twentieth-century version of hysteria.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orexia from psychoanalytic perspectives. Further, this paper examines how anorexia may provide a paradigm of one way in which potential resistance is not merely undercut but utilized in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existing power relations. Susie Orbach interprets anorexia as a species of unconscious feminist protest in a most articulate and forceful way. The anorectic is engaged in a “hunger strike,” as Orbach calls it, stressing that this is a political discourse. Susan Bordo similarly argues that the anorectic is unaware that she is making a political statement. Through embodied rather than deliberate demonstration, she exposes and indicts those ideals, precisely by pursuing them to the point at which their destructive potential is revealed for all to see. Finally, while many feminist theorists read anorexia as protest or resistance against patriarchal power,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such feminist theoretical arguments, defending Sandra Lee Bartky's notion of anorexia. Bartky analyzes how the anorectic becomes, just as surely as the inmate of the Foucauldian Panopticon, a self-policing subject, committed to a relentless self-surveillance. This self- surveillance is a form of obedience to patriarchy, conforming to the cultural messages that we inscribe upon our own bo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