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Edith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and the Metaphysics of Lif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1
35P 미리보기
에디트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형이상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24호 / 151 ~ 185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서구 지성사에서 정신주의적 전통을 사유하도록 강요했던 하나의 화두를 꼽자면, 인간의 몸이라 할 수 있는데, 필자는 정신주의적 전통에 치중해 있는 시각을 넘어서 몸에 대한 새로운 철학적 담론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동안 무시되고 간과되어 왔던 몸의 중심성을 회복함으로써 그것이 함축하는 새로운 철학적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몸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해명은 단순히 몇몇 특정한 철학적 문제들에 그치지 않고 서양 철학적 전통 전반에 대한 반성적 재검토를 요청한다는 사실을 제안함으로써 몸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는 데 이 글의 출발점이 있다.
    그렇다면 왜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인가?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몸에서 물질적 측면을 정신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몸의 복권을 이루어냈다는 점이다. 반면에 다른 한편으로는 몸의 복권을 통하여 등한시될 수 있는 영혼과 정신적인 면을 물질적인 면과 동등하게 인정함으로써 물리적 사태의 총체로 이해하는 데서 발생될 수 있는 생명성에 대한 생명 없는 것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필자가 주장하는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은 한편으로는 몸을 강조함으로써 몸의 복권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한계를 생명의 형이상학적 측면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그 이론을 토대로 한 생명의 형이상학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이 문제는 결국 몸의 철학적 담론에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답변될 것이다. 그리고 후자인 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부정적 측면은 왜 생명형이상학이 제시되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그것은 질료와 생명 그리고 정신을 총체적으로 논하며, 그 안에서 생성과 차이를 수용하고 생명과 존재 자체의 근원이 내재적으로 함축된 인간 존재의 의미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체로서 인간이 지닌 총체성과 근원적 존재의 의미 자체를 모색함으로써 생명의 감각적 측면과 초월적 측면 그리고 영성적 측면의 생성의 기능을 ‘내재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생명형이상학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명성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우리는 자신의 작업이 어떠한 인간학적, 존재론적 의미를 지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영혼이 없는 심리학’ 내지는 ‘사유하지 않는 과학’의 일면성을 극복하고 인간 이해의 철학과 생명학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올바른 인간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은 현대 생명과학에 의해 밝혀진 학적 결과와 지식을 도외시하지 않으면서 그 지식이 지니는 존재론적 의미와 생명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해명하는 인간이해의 형이상학, 다시 말해서 생명형이상학의 모색에 있다고 하겠다. 그렇기 때문에 슈타인의 단일-존재로서의 몸철학과 생명의 형이상학적 토대는 하나의 의미 있는 패러다임인 것이다.

    영어초록

    One of the topics of great speculation in spiritual traditions throughou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the human bod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o beyond the common perspectives concerned with spiritual tradition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w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human body. This philosophical discussion offers a method of rehabilitating the centrality of the body that has been neglected and overlooked. This paper uses body development theory as its foundation. It suggests that explanations for the body must go beyond the basic philosophical questions to analyz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s as a whole from a more reflective approach.
    If this is the case, then why focus on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Focusing on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makes it possible to rehabilitate the human body by equally acknowledging both the physical and spiritual aspects of the body. Oftentimes, the spirit and the spiritual aspect of the body are disregarded or neglected. Through this equal acknowledgemen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plaining vitality as a lifeless concept, which can occur when understanding vitality as the whole body of physical situations. Therefore, on one hand,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has the benefit of promoting body rehabilitation by emphasizing the human body. On the other hand, Stein’s body philosophy suggests a new paradigm, which through the metaphysics of life,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might arise by actually overemphasizing the body. If this is so, what do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and the metaphysics of life based on its theory mean in contemporary society? The question will end up being answered both in a positive way and in a negative way through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human body. The negative viewpoint of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human body will be the reason why the metaphysics of life should be considered. The origin of life and its very existence immanently imply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ccepting both formations and differences while discussing substance, life, and souls on the whole. That is the reason for questioning the metaphysics of life, which can integrate the “immanent” creative functions of the sensible, transcendental, and spiritual aspects of life by attempting to determine the totality and its meaning as the original cores of human beings as living creatures. The introspection of vitality enables people to overcome one aspect of “psychology without souls” or “science without thinking”. It also allows people to set up a philosophy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the study of life. This implies an understanding of the metaphysics of understanding human beings. In other words, it is the understanding of the metaphysics of life. In conclusion, wha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uman beings right way is not to ignore the scientific results and knowledge that are revealed by contemporary life science. Rather,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is knowledge and the meaning of life as a whole. Thus, it is safe to say that Stein’s body philosophy as a singular being and the metaphysical foundations of life are one and the same meaningful paradig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