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의 몸과 젠더의식 - 문정희․김혜순 시를 중심으로 - (The Female's body and Gender awareness - Focusing on Poems of Mun, Jeong Hee and Kim, Hye Su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8
28P 미리보기
여성의 몸과 젠더의식 - 문정희․김혜순 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6호 / 407 ~ 434페이지
    · 저자명 : 윤혜옥

    초록

    한국의 페미니즘 시를 개성적으로 발전시킨 문정희와 김혜순의 시에서 신체어에 주목하고, 신체를 통하여 젠더의식이 미학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성의 몸은 가부장제의 억압과 근대의 욕망이 기술되어진 공간이다. 이러한 몸을 통하여 문정희와 김혜순은 이념은 공유하면서도 시세계의 특징에서는 차이가 두드러졌다.
    먼저 모성적 신체공간인 자궁은 임신과 출산을 통해 여성만이 경험할 수 있는 고유한 곳이다. 문정희의 시에서 자궁은 억압과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 세계의 이분법적 인식을 직시하면서, 여성의 가치를 새롭게 발견한 생명력과 재생을 통하여 다산과 풍요를 추구하고 있었다. 김혜순의 시에서 자궁은 부유하며 파열하는 정체성을 드러내면서, 결핍이 아닌 흘러넘치는 부재와 균열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에로스적 신체공간인 생식기, 입술 등은 그동안 드러내지 못했던 장소들이다. 그러나 문정희는 왜곡된 남성성을 거침없이 질타하면서 이상적인 남성성을 당당하게 요구한다. 그리고 감추어진 성을 대담하게 담론화하는 금기와 위반의 욕망을 드러내고 있었다. 김혜순의 에로스적 신체공간에서는 인습으로 굳어진 여성성을 복원시키고 새로운 여성성을 생성하고 있었다.
    페미니즘은 反남성주의가 아니라 성차별주의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성차별적 사고와 행동 양식을 받아들이도록 사회화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문정희와 김혜순은 특히 여성의 몸을 통하여 성차별주의적 사고에 도전하여 그동안 숨겨져 있던 여성 신체의 여성성을 부각시켰다.

    영어초록

    By focusing on the language of body in poems of Mun, Jeong Hee and Kim, Hye Sun, the course of aesthetic realization of the gender awareness through the body are analyzed. The female’s body is a space where the patriarchal suppression and the modern desire are described. Through such body, Mun, Jeong Hee and Kim, Hye Sun share the ideology but with clea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world of poem.
    First, a maternal body space, the womb is the unique place experienced only by a woman through her pregnancy and baby-birth. In Mun, Jeong Hee's poems, the womb pursues the fertility and the abundance through the vitality and the regeneration finding the brand new value of women. In Kim, Hye Sun’s poems, the womb reveals the rich and bursting identity and displays not the lacked, but excessive absence and fissure.
    Next, the erotic body spaces, sexual organs and lips are the places which haven’t been revealed. However, Mun, Jeong Hee criticizes the twisted male images without any hesitation and boldly demands for the idealistic male images. Also, the desire of taboo and violation discussing on the hidden sex are revealed. In Kim, Hye Sun's erotic body spaces, the femaleness hardened by the custom is restored and new femaleness is created.
    The feminism is not the anti-androcentrism, but the anti-sexism. We are becoming socialized to accept the sexist thinking and behavior from our births. In such situation, the two poets highlight the femaleness in the female body that has been hidden by challenging against the sexist thinking through the body of wo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