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의 몸: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The Body of Language: Centering on Lacan’s Theory of Psychoanalysi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03
26P 미리보기
언어의 몸: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정신분석 / 19권 / 1호 / 109 ~ 134페이지
    · 저자명 : 최원

    초록

    본 논문은 프로이트와 라깡이 생물학주의에 대한 비판의 관점에서 몸 문제를 다룬다고 주장하면서 언어의 몸이라는 쟁점을 제기한다. 양자는 공히 정신분석학을 생물학 또는 생물학에 기초한 심리학으로 환원하려는 경향(예컨대 융)에 맞선 투쟁으로 특징지어지는바, 그것은 (생물학적인) 자아본능과 성적 충동의 이원론에대한 단호한 옹호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라깡에 초점을 맞추지만프로이트의 논의를 먼저 간략히 다룬다. 우선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을 정초하던 순간에 생물학적 차원과 무의식의 차원을 신경증 환자 엠마의 분석 속에서 구분한 것을 확인하고 그런 이원론이어떻게 죽음충동에 대한 이론화로 이어지는지 살핀다. 라깡 또한 이원론의 입장을 택하는데, 그는 특히 리비도를 성별화된 섹슈얼리티와 대척점에 가져다 놓음으로써 모든 성적 충동을 죽음 충동과 등치시킨다. 이 관점에서 보면 라깡은 자연적인 몸이 문화적인것을 규정한다는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자다. 자연적인 것은 오히려 상징 법칙에 의해 규정되는 ‘효과’의 자리에 놓인다. 이런 관점에서 라깡은 인간의 상상적 몸을 자아-이상의 구조적 작동 속에서 구축되는 이상적 자아 이미지로 분석한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언어의 몸이 아니라 언어에 의해 규정되는 몸이다. 라깡은 세미나 11에서 언어의 몸을 논한다. 그는 주체가 언어의 장으로 진입할 때 몸과 정신의 교집합에 위치하게 되는 ‘기의 없는 기표’를 바로 언어의 몸이라고 파악한다. 본 논문은 그 당시 벌어졌던 라깡과 두 제자 사이의 논쟁을 통해 라깡이 어떻게 생물학주의에 맞섰는지 논하고 그 함의를 숙고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claims that Freud and Lacan’s psychoanalysis discusses the question of body from the standpoint of a critique of biologism, and thus tries to raise the issue of the body of language. The position that both Freud and Lacan take is characterized as a struggle against various tendencies (for example, Carl Gustav Jung’s) to reduce psychoanalysis to biology or psychology based on it. Hence their position appears as a resolute defense of a dualism of (biological) ego-instincts and sexual drives.
    This paper, though focusing on Lacan’s discussion, briefly goes over Freud’s theorization. I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Freud’s theory by, first, taking a look at how he at the moment of founding psychoanalysis clearly distinguished the biological dimension and the dimension of the unconscious through an analysis of a hysteric patient Emma, and then tracing the vicissitude of such a dualism leading to a theorization of death drive. Lacan also takes a position of dualism and yet constructs his theory by situating libido (energy of life) in an opposite point of sexuated sexaulity and thus equating all sexual drives to death drives. From this point of view, Lacan is considered a theorist who most fiercely criticized naturalism which asserts that the natural body determines the cultural. Lacan rather puts the natural (nature) in the place of an ‘effect’ caused by the cultural law, which he calls the symbolic. Understanding man’s imaginary body from this perspective, Lacan analyses it as an image of ideal ego constituted in a structural operation of the symbolic ego-ideal. But this imaginary body is still not a body of language but a body determined by language. Lacan analyses the body of language itself in his Seminar XI. He considers the signifier without the signified called Vorstellungsrepräsentanz to be placed in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mind at the moment when a human subject enters the field of language.
    This paper reexamines how in his Seminar XI Lacan struggled against biologism in a debate with his two students Laplanche and Leclaire and reflects upon its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