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화된 몸과 자기 돌봄을 통한 주체적인 몸 (Medicalized Body and Subjective Body through Self-Ca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04
25P 미리보기
의료화된 몸과 자기 돌봄을 통한 주체적인 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52권 / 39 ~ 63페이지
    · 저자명 : 심지원, 박삼헌

    초록

    의료화는 이전에는 의료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 질병의 문제로 간주하게 되고, 생애주기 전체를 의료의 문제로 환원시킴으로써, 모든 사람들을 잠정적 환자 또는 미래의 환자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일상에서 생애주기 전반이 의료화되고 있지만 그 가운데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출산, 노년, 죽음, 감정, 자살, 사회적 일탈, 여성 건강과 남성 건강, 성적 쾌락 등)들이 의료화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의료화는 대상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음도 살펴보았다. 또한 의료화의 몸과 향상된 몸의 관계 그리고 다양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인간 향상기술의 사회윤리적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의료화된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이중적 태도와 여성들이 미레나와 같은 생리 억제 시술 사례를 중심으로 의료화된 몸 현상과 담론에 대한 대안을 푸코의 자기 돌봄 개념을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의료화된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외모를 개인의 노력으로 성취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자신의 외모를 스펙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의료적 개입을 통해서 외모를 관리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청소년들은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에서는 강한 반감을 나타내며, 탈코르셋과 같은 운동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생리에 대한 인식이 시대나 문화에 따라 변화하고, 미레나 같은 생리 억제 시술이 원래는 피임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오늘날 더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의료화된 사회에서는 많은 문제들을 의료적 개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몸에 대하여 어떠한 선택을 결정해야 하는지 어려움에 처해있다. 그러한 많은 가능성 가운데 주체적인 몸을 지니기 위해서는 어떠한 선택을 해야할 것인가? 신자유주의 시대의 자기주도적인 사업으로서 의료화를 넘어서, 의료화된 몸이 아닌 주체적인 몸, 자기 인식 주체의 타율적 환상이 아니 자기 돌봄 주체의 자율적인 실존의 미학을 구축하는 데 푸코의 후기 사유가 적지 않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Medicalization means that what was not previously a medical problem is regarded as a problem of disease, and by returning the entire life cycle to a medical problem, everyone is either a provisional patient or a future patient. Although the entire life cycle is being mediated in our daily lives, we looked at what specifically (birth, old age, death, emotion, suicide, social deviation, women's health, male health, sexual pleasure, etc.) are being mediated, and we also looked at the degree of medicaliz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In addition, social and ethical problems of human enhancement techniqu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body of medicalization, enhanced body relationships, and various cases. In a medicalized society, we wanted to find alternatives to medicalized body phenomena and discourse centered on the concept of self-care by Foucault, focusing on the dual attitude of teenagers' appearance and cases of menstrual inhibitor such as Mirena.
    In a medicalized society, teenagers regard appearance as something to be achieved by individual effort, and they regard their appearanc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qualification and manage it through medical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eenagers are strongly opposed to judging people by their looks, and they are also positive about sports such as decorset. The perception of menstruation also changes with the times and cultures, and menstrual inhibitor, such as Mirena,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contraception purposes, but were used for treatment over time, and are further used tod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 medicalized society, many problems are solved through medical interven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many to decide what choice to make for their bodies. What choice would you have to make to have a self-reliant body among those many possibilities? As a self-directed project in the neoliberal era, Foucault's later thinking was used to construct the aesthetics of the autonomous existence of the self-caring subject, not the subjective body of the self-aware subject, not the medicalized body, beyond medicalization. It is expected to inspire a great deal of inspi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