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타라(跋陀羅)의 어원과 탐몰라주(耽沒羅洲)의위치 추정 -『법주기』에 언급된 16나한과 그들의 거주지에서 - (An Etymology of “Bhadra” and the Location Estimation of “Danmoluo zhou/Tammolaju”: Based on the Fazhu ji’s References to the Sixteen Great Arhats and Their Residenc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04
30P 미리보기
발타라(跋陀羅)의 어원과 탐몰라주(耽沒羅洲)의위치 추정 -『법주기』에 언급된 16나한과 그들의 거주지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2호 / 403 ~ 432페이지
    · 저자명 : 조연숙, 고승학

    초록

    2세기경 Nandimitra의 설법을 집대성한 Nandimitrāvadāna가 654년 현장에 의해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이 문헌에서 언급되는 발타라(跋陀羅)란 인명의 원어를 Bhadra로 추정한다면, 그것은 ‘현인(賢人)’의 뜻으로서 보통명사로 쓰인 듯하다. 그렇지 않다면 발타라의 원어는 붓다가 귀향했을 때 왕좌를 버리고 출가한 Bhadrika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문헌에서는 발타라가 탐몰라주(Tāmradvīpa)에 살고 있다고 한다. 이능화는 『조선불교통사』에서 이를 인용하면서 탐몰라주가 탐라로, 지금의 제주도라는 말을 덧붙인다. 그런데 Nandimitrāvadāna의 한 호탄본에 나오는, 제6 나한의 거주지가 Siṁhaladvīpa(師子胤)란 문구와 『보정기(輔正記)』에 나오는, 탐몰라주가 사자국(師子國)이란 문구는 탐몰라주가 현 스리랑카임을 보여준다. 또한 16나한의 이름과 그 권속의 수, 그들의 거주지, 16나한의 순서가 Nandimitrāvadāna의 호탄본과 티베트본들에서 다른 부분들이 있는데,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로부터 텍스트의 필사자나 역자에 따라 16나한의 이름과 그 권속의 수가 바뀌고 그들의 거주지 명칭도 바뀌며, 16나한의 순서도 바뀜을 살펴보았다. 또 『법주기』의 독자에 따라 제6 나한이 누구이고 Tāmradvīpa가 어디인지도 다르게 해석함을 보았다.

    영어초록

    In 654 Xuanzang translated the Nandimitrāvadāna, a second-century collection of Nandimitra’s sayings. This Chinese translation, entitled Da aluohan Nantimiduo luo suoshuo fazhu ji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has a reference to the personal name “Batuoluo” (跋陀羅). If we are justified in identifying “Batuolou” as “Bhadra,” the name in question seems to be used as a common noun meaning “a wise person” (賢人). Otherwise, the original word for “Batoulou” may refer to Bhadrika, who is known to have abandoned the throne to become a monk when the Buddha returned to his home.
    As for this person Batuoluo, in the Joseon Bulgyo tongsa (朝鮮佛敎通史) Yi Neunghwa quotes from the Fazhu ji a phrase that Batuoluo lived in Tāmradvīpa (Danmoluo zhou/Tammolaju), and adds that Tammolaju is Tamna, which is present day Jeju Island. However, one Khotanese text of the Nandimitrāvadāna refers to the sixth arhat’s residence as Siṁhaladvīpa (師子胤), and the Fahua jing wenju fezheng ji (法華經文句輔正記) also states that Tāmradvīpa is Shiziguo (師子國). This textual evidence thus shows that “Danmoluo zhou” refers to present-day Sri Lanka.
    Moreov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the names of the sixteen arhats, the numbers of their retinues, the names of their residences,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enumerated according to the versions of the Nandimitrāvadāna. This paper thus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se differences are brought about by the scribes or translators of this text. It also examines different ways in which the identity of the sixth arhat and the location of Tāmradvīpa have been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readers of the same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