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규모 복합쇼핑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한국과 일본사례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Case Study of Vitalizing Strategy for Large Complex Shopping Malls in Korea and Japa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07
40P 미리보기
대규모 복합쇼핑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한국과 일본사례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통학회
    · 수록지 정보 : 유통연구 / 21권 / 3호 / 55 ~ 94페이지
    · 저자명 : 백인열, 강우성

    초록

    국내 복합쇼핑몰은 코엑스몰과 센트럴시티가 영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에도 많은 변화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재화의 구매를 벗어나 여가를 즐기듯 장시간 체류하거나 구매 이외의 행동에 중점을 두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인식되기 위해 복합쇼핑몰이 중점을 두는 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을 운영하는 실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복합 쇼핑몰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한 쇼핑몰 관리자들의 마케팅 활동에 대하여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쇼핑몰의 활성화 요인은 크게 1)물리적 요인과 2)운영적 요인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운영적 요인은 다시 직접적 마케팅 요인과 간접적 마케팅 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 모두 물리적 요인과 직접적 마케팅 운영요인이 활성화에 중요한 항목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간접적 마케팅 요인에 있어서 차이점이 두드려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전문 마케팅 운영조직을 사내에 보유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공익적 활동을 실시하는 일본 측 요인이 한국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본의 쇼핑몰들은 일관된 관리운영체계를 갖추어 서비스품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등 쇼핑몰의 참신함을 장기간 유지하여 전체 브랜드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들이 많다는 것도 차이점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복합쇼핑몰과 아울렛의 지속적인 출점이 예정되어 향후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개별 쇼핑몰이 이러한 경쟁을 이겨나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활동에 덧붙여 간접적 마케팅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ABSTRACT The commercial spaces play increasing roles in consumers' life by providing places for enjoying their leisure times. Especially, the complex shopping malls, which combine retail shops with food & beverage and entertainment elements, offer ‘Urban Leisure Space’ for citizens to spend leisure time conveniently. The modern history of domestic complex shopping malls began with the introductions of Coex Mall and Central City. These complex shopping malls brought many changes in consumers' consumption behaviors.
    Given these importance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talizing strategy for complex shopping malls to attract customers who simultaneously enjoy leisure and free time, in addition to simply buying goods and service. Based on extant literature, we first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to understand the strategic process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The research methodology we adopted is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case study method. We examined existing shopping malls in both countries and selected representative yet comparable two sets of shopping malls. Then, we collected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m, combined with series of interviews. Specifically, we conducted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industry experts in Korea and Japan,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each. With this approach we are able to draw managerial implications by investigating the marketing activities of managers in complex shopping mall to satisfy their customers. In doing so, we emphasiz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s complex shopping mall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key vitalizing strategy for complex shopping mall consists of two factors: physical factors and operational factors. The physical factors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shopping mall in tangible perspective, including architecture and the flow of human traffic. Examples include choosing high-potential location in planning stage, offering easy accessibility for customers, and achieving economy of scale in size. The operational factors can be further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direct marketing factors and indirect marketing factors. Direct marketing factors affect the sales directly (e.g., diversification of MD, attracting key tenants etc.), whereas indirect marketing factors affect the sales indirectly by increasing store traffic (e.g., event, entertainment etc.).
    Both Korean and Japanese experts acknowledged that the physical factors and direct marketing factors are crucial factors in vitalizing the complex shopping mall. However, they are dramatically different in utilizing the indirect marketing factors (see Table 1). First, Japanese shopping malls have ‘Town Management’ team to manage the entire brand from the beginning. This team can be extended to ‘Area Management’ to connect with local society and government agency. These teams can be expensive to maintain but are very important in vitalizing the complex shopping malls. Second, Japanese shopping malls build a consistent business system across functional areas and many times achieve vertical integration as well. This helps long term cooperative relationships and high quality service, thereby offering positive credibility to customers. Since each new service the shopping mall offers is indeed a new product, the vertical integration combined with the town management team is very effective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third difference is the collaboration with local society and government. They acknowledge that the shopping complex itself is a part of local society and participate in many social services, which provide customers with more experience and pleasure than simple consumption. These activities might not be relevant for short term performance of the mall, but are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organization. In Korea, since the future competition will be intensifying as more complex shopping malls and outlets continue to enter, the existing complex shopping mall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indirect marketing activities to win the competition.


    Our study also offers the following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in the middle of increased opening of capital markets and deepening globalization, more and more private equity funds and real estate developers are entering into commercial real estate development business. For this reason, our study shed lights on vitalizing strategy in the perspective of domestic and foreign retail firms and real estate developers. Second, we also offer key success factors of complex shopping malls for the developers, potential tenants, and other stakeholders. Finally, we notice that Japanese real estate firms are indirectly entering the domestic markets via consulting firms or joint investment, especially in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And, Korean real estate firms are considering to invest in Japan as well. Our study can help the mutual understanding of both markets by investigat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wo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통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