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강현실 스토리텔링의 인물 층위-<포켓몬GO>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 Layers of the Augmented Reality Storytelling- Focusing on Pokémon G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12
32P 미리보기
증강현실 스토리텔링의 인물 층위-&lt;포켓몬GO&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 21호 / 89 ~ 120페이지
    · 저자명 : 최미경

    초록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과 가상객체를 실시간으로 함께,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 <포켓몬GO>의 성공을 통해 그 가능성을 입증한 새로운 스토리텔링 양식이다. 이 논문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큰 성공을 거둔 게임 <포켓몬GO>의 인물층위를 분석함으로써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스토리텔링과 기존 스토리텔링의 차이를 살피고자 한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포켓몬GO>의 기본 스토리텔링을 검토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 속 인물들의 층위를 나눈 뒤 각 인물 층위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포켓몬GO> 스토리텔링에 참여하는 인물은 게임 속 인물-가상캐릭터, 게임하는 사람-수용자, 게임하지 않는 사람-비수용자로 층위를 나눌 수 있다. 이때 가상캐릭터는 수용자에 종속되어 있으며 적대자는 등장하지 않았다. 수용자와 비수용자는 현실에 실재하는 인물로, 수용자는 화자이자 청자인 동시에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이야기를 시작부터 끝까지 주도적으로 끌고 나간다. 한편 비수용자는 역할은 한정적이나 이야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 점은 증강현실 스토리텔링과 타매체 스토리텔링의 변별점으로 보인다. 둘째, 앞서 말한 인물의 특징들은 텍스트가 만들어낸 환상과 수용자가 처한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한편, 수용자의 자기중심성 강화하고, 현실을 도구․장애물화 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아가 자기중심적 스토리텔링은 이야기의 거리두기를 증발시키고, 현실과 가상의 모호한 경계로 인해 자기중심성이 가상세계에 머물지 않고 현실로 확장하게 함으로써 게임 밖 세계를 도구화하고 게임 밖 인물을 장애물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결론은 <포켓몬GO>의 순기능에 대한 찬사보다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닿아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에는 필연적으로 부작용이 따르고 적응시간이 요구된다. 증강현실 기술은 이제 막 우리의 일상으로 들어왔으며 앞으로 눈부시게 발전할 예정이다. 기술 발전에 발맞춘 다양한 서사 실험을 통해 우리가 삶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대체 불가능한 수단, 이야기의 진화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ugmented reality is a new storytelling form tha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rough the success of Pokémon GO, a technology that is a live direct or indirect view of a physical, real-world environment whose elements are "aug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augmented reality storytelling and existing media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character layers of the highly successful game Pokémon GO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storytelling of the Pokémon GO, then divided the layers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 layer,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erson participating in the Pokémon GO storytelling can be divided into characters in the game, game players, and non-players. Characters in the game -The virtual characters are subordinate to the players and the antagonist is not included. The players and the non-players are real people in the real world. The players becomes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and also the protagonist of the story, leading the stor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addition, the role of non-players is limited, but it also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story. This point seems to be a differentiating point between augmented reality storytelling and existing media storytelling.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mentioned above tend to obscure the boundaries between fantasy and reality in the storytelling of Pokémon GO, while enhancing the players' egocentrism and making the reality a tool and an obstacle. Furthermore, ego-centric storytelling evaporates the distancing of stories and causes egocentrism to expand into the real world without staying in the virtual world due to the vagueness of the real and virtual boundaries. And by doing so, it becomes instrumentalizing the world outside the game and obstructing the characters outside of the game.
    These conclusions are concerned with the side effects rather than the praise of the Pokemon GO. But new technologies necessarily have side effects and adaptation tim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has just entered our daily lives and is going to make a brilliant future. I expect the evolution of the story, an impossible means of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our lives through various narrative experiments in line with technology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동청소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