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존의 지각 과정에 있어 배우의 목소리에 내재한 실재성에 관한 연구 - 작품 '고스트 쉽 (Seance)'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herent Existence of Actors’ Voices and Its Impact on Perceiving Their Presence - A Case Study of 'Seance'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4.05
15P 미리보기
현존의 지각 과정에 있어 배우의 목소리에 내재한 실재성에 관한 연구 - 작품 '고스트 쉽 (Seance)'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34권 / 2호 / 1 ~ 15페이지
    · 저자명 : 김형준

    초록

    본 연구는 최신 기술과 융합된 현대 공연에서 배우의 목소리에 내재한 실재성을 탐구함으로써, 현존의 지각 과정을 배우 목소리의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서사의 전달체로서 역할 하는 목소리가 아닌, 실재하는 에너지로서 배우의 목소리가 현존을 지각시키는 요소로서 기능하는 가능성에 관한 탐구를 목적으로 두었다. 최신 기술과 융합된 사운드 이머시브(sound immersive) 공연은 더 이상 ‘보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자극을 통한 ‘듣는’ 것으로 옮겨갔다. 시각적 차원의 공연 예술이 청각적 차원으로 이동하며 관객의 수용미학적 관점은 배우의 목소리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에 재조명한다. 배우 목소리의 실재성은 발화하는 주체의 존재를 청자에게 지각시키며, 배우와 관객과의 상호 관계를 생산한다. 몸을 통해 발화하여 청각기관을 지닌 관객의 몸으로 인식되고, 배우의 몸과 관객의 몸을 연결하는 매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인지신경학적인 관점에서 현존은 단순한 시공간의 근접함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한 ‘상호 관계’의 형성과 그들만의 ‘공유된 순간’을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밝혔다. ‘다크필드(Darkfield)’의 <고스트 쉽(Séance)>에 등장하는 ‘영매’는 관객에게 가까이 다가가 귓속말하고, 관객의 호흡 속도를 조절하며 대답을 끌어낸다. 영매의 목소리는 관객의 생리학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만의 ‘공유된 순간’을 형성하여 관객으로 하여금 배우의 현존을 지각시킨다. 그리하여 배우의 신체가 존재하므로 관객이 지각하는 배우의 현존과 같이 배우의 목소리를 통해서 관객이 배우의 현존을 지각하는 과정을 탐구할 뿐만 아니라 배우가 무대 위에 존재하지 않는 현대 공연에서 배우의 목소리는 기의로서의 역할을 넘어서 부재하는 배우의 존재를 관객에게 지각시키는 실재하는 에너지로서 기능하는 배우 목소리의 가능성을 재조명시키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herent sense of existence conveyed through actors’ voices within contemporary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the latest technology, examining the process perceiving pres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ors’ voices themselves. The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actors’ voices serving as tangible energy that facilitates the perception of presence. Sound immersive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the latest technology no longer emphasize ‘seeing.’ Rather, they transition towards ‘listening’ through auditory stimulation, shedding new light on the potentials of actors’ voices. The existence of actors’ voices enables listeners to perceive the speaker’s being, thereby fostering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tors and the audience. From a cognitive neuroscience perspective, it was revealed that existence is not solely influenced by temporal and spatial proximity but is also shaped by the formation of ‘mutual relationships’ and the ‘shared moments’ they cultivate. In Darkfield's Séance, the ‘medium’ interacts with each audience member, whispering closely and engaging in conversation. The medium's voice influences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audience, creating ‘shared moments’ and facilitating the audience’s perception of the actor’s exist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reassess the potential of actors’ voices as tangible energy within contemporary performances integrated with digital technology, enabling the audience to perceive the actors’ existence despite their absence on stage. This study is an exploration of the reality inherent in the actor's voice in the existing perception process, and attempts to look at the existing percep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or's voice. Therefore, since the actor's body exists, the process by which the audience perceives the actor's presence through the actor's voice is examined. In other words, it is to re-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ctor's voice that functions as energy to perceive an absent character, not a voice as a means of conveying a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