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을 통한 기독교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관계 사례 연구: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artnership between Christian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through Service-Learning: a Focus on the Voices of Community Partn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03
26P 미리보기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을 통한 기독교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관계 사례 연구: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정보 / 56호 / 107 ~ 132페이지
    · 저자명 : 유숙영

    초록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은 지식과 실천, 교실과 현장, 대학과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섬기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방법이다. 교육방법은 교육철학과 목적에 따라 결정되며, 교육내용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과정이다. 기독교대학의 교육철학과 목적은 학생들이 기독교의 진리를 배우고 실천해서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것이며, 기독교대학이 가르쳐야할 진리의 핵심은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이다. 우리가 사랑해야할 이웃은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이며, 가깝게는 지역사회일 것이다. 기독교대학의 교육철학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지역사회의 협력관계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봉사-학습의 가능성을 밝히고, S여대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의 목소리를 반영한 협력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사례는 2017년 1, 2학기 S여대 봉사-학습 협력기관의 담당자 33명이 참여한 평가회와 설문을 분석하였다.
    지역사회는 봉사-학습의 가장 큰 특징인 ‘상호호혜성’, ‘학생들의 미숙함과 변화’를 이해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전문성과 자기주도성’을 일반 사회봉사와의 가장 큰 차이로 생각했다. 어려운 점은, 봉사-학습이 한 학기 수업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지속성의 단절’과, ‘활동내용과 기관 요구의 차이’를 조정하는 것과, 기관과 학생의 ‘활동가능 시간의 차이’를 맞추는 것이다. 또한 ‘봉사태도 지도’의 어려움, ‘기관 담당선생님의 잦은 변경’이 해결해야할 문제점이다. 우수한 봉사-학습 활동과 학생에 대해서는 적극 칭찬하며 추천했으며, ‘봉사-학습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학생활동에 대한 적절한 기대수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과 지역사회 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특히 기독교대학은 사랑하고 섬겨야할 대상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소통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가지면서 서로의 상황과 비전을 공유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협력관계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Service-Learning is one of educational methods to foster servant leaders by linking knowledge and practice in the classroom and the field adopted by the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ies. The best educational methods will be decided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urpose as a way to teach the educational contents mos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educational purpose of christian university is to make God’s kingdom in this world through teaching students christian truth, which is loving God and one’s neighbor. The neighbor to love is everyone who needs helps, that is the community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Based on the partnership between christian university and the community it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urpose can be accomp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ervice-Learning as a concrete way to build partnership between a christian university and the local community, to lay the foundation by hearing the voice of community from the S-L case implemented at S university. The dialogues of 33 staffs from its’ community partner organizations at evaluation meetings of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in the year 2018 are analysed.
    They distinguish Service-Learning from community service by reciprocity, students’ change from immaturity, professionalism, and self-directedness. It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put up with the service discontinuity after just only one semester, gaps between what students can serve and what community needs to be served, or those between when students can and when community needs. They feel difficult to deal with students’ attitude problem and the constant upheaval of the staffs in charge. They proudly recommend excellent service-learners to the university, and ask for detailed guides on Service-Learning. They report they manage to control appropriate expectations on the students because they are not learned but are learning. Though there remain still many problems to solve, the christian university should make more opportunity to hear from the community and communicate with it to learn and love it be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정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