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운영에서 예비교사의 협력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y Study on Pre-kindergarten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at the Course of PBL-based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03
36P 미리보기
문제중심학습(PBL)기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운영에서 예비교사의 협력학습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22권 / 1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고지민, 서혜정

    초록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 기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운영에서 예비교사의 협력학습에 대한 의미를 찾아가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 소재 대학교 유아사회교육을 수강하는 유아교육과 학년학생 명이다 연구를 위해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연구 참여자의 반성적 저널쓰기조별 발표 자료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한 후 의미를찾는 해석 과정을 거쳤다연구결과 문제중심학습 기반 유아사회교육 교과목 운영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먼저 조별 과제를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기회 맞이하기 조별과제의 협력에 대한 의미 깨닫기 더 많은배움을 위해 발표조의 책임감 갖기의 협력학습의 의미를 가졌다 두 번째 토론을 통한 협력학습의 의미로 나와 다른 생각을 공유하며 이해가 커져가는 시간 도덕성 성찰과 타인을 존중하는 기회의 시간 의견표현의 가치를 발견하는 시간 상황극으로 재미와 학습을 연결하는 시간임을 드러냈다이 연구는 학습자를 능동적인 주체로서 학습에 참여하는 수업을 모색하는 대학의 교수자에게 방향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e-kindergarten teacher's collaborative learning at the course of PBL-based social stud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thirty two students in H university in J province. For the study,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reflective journals and group presentations from Sept. 1, 2016 to Dec. 16, 2016, The collected materials went through inductive analyses and interpretive proces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t the course of PBL-based social studies, with group presentations, participants first had chance for self directed learning. Second, they realized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through small group projects.
    Third, they recognized the meaning of responsibility as a presentation group for further study, which was a big part of collaborative learning. With open discussion practice, first, they developed deeper understanding for others while sharing different opinions. Second, they had opportunities to respect others and reflect their moralities. Third, they discovered the value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Fourth, they related learning with fun by theatre of situation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new directions for professors who investigate curricula for more actively learning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