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화가 삶이 되는 ‘회복적 통일교육’ 교과목 개발: 비폭력대화와 북한 영화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Restorative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Peace becomes Life: Focusing on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North Korean Movie Literacy)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12
52P 미리보기
평화가 삶이 되는 ‘회복적 통일교육’ 교과목 개발: 비폭력대화와 북한 영화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북한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북한연구학회보 / 25권 / 2호 / 151 ~ 202페이지
    · 저자명 : 안지영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평화·통일교육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결과 고안된 ‘회복적 통일교육’의 원리와 운영 사례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회복적 통일교육은 회복적 정의 시각에 입각한 평화·통일교육을 의미한다.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볼 때 한반도 평화는 그 구성원들이 스스로 책임의식을 느끼며 자발적이고 일상적인 실천을 통해 분단 피해로부터 온전히 회복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개인 간 관계 및 남북 공동체를 평화롭게 회복함으로써 모두의 정의를 회복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회복적 통일교육은 분단의 폐해로부터 한반도 평화를 회복할 소통/갈등조정 역량을 기르는 교육이다. 이를 위해 비폭력대화의 이론 및 중재교육 모델을 재구성한 두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성원 모두가 안전하고 평등한 서클 구조에서 비폭력대화 원리와 요소를 활용해 공감적으로 소통하는 문화가 작동하는 배움공동체를 형성한다. 각자의 주관적 시선과 경험을 존중하면서 불편함과 갈등을 드러내길 환영하고 회복하는 평화 습관을 길러간다.
    둘째, 남북 간 교류가 단절된 상황인만큼 북한 영화 및 영상이 가진 특징을 활용하여 사회구조와 문화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면서도 주민 의식과 일상을 공감하는 체험활동을 한다.
    학습자들은 공감적 소통을 통해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면서 자존감과 공동체의식이 높아졌다. 동시에 한반도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을 자각하면서 남북의 상생과 평화를 위한 일상에서의 실천을 고민하게 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자기 내면과 일상을 회복하는 평화의 실천으로부터 통일교육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restorative unification education’ designed as a result of practic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subjects at universities.
    Here, restorative education for unification means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storative justice. From the perspective of restorative justic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means that members of society feel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fully recover from the damage of division through voluntary and daily practice. And in the process, it is a process of restoring justice for all by peacefully resto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ties. Therefore, the goal of restorative unification education is to nurture citizens with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capabilities to restor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effects of divis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theory and mediator education model based on Nonviolent Communication(NVC) were reconstructed. First, it forms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a culture in which all members communicate sympathetically using principles and elements of NVC in a safe and equal circle structure works. Second, since exchanges have been cut off, we us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films and images to critically understand social structure and culture, but also engage in experiential activities that empathize with residents’ consciousness and daily life. As learners experienced healing and recovery through empathic communication, their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At the same time, I became aware of my responsibilities as a member of the Korean Peninsula and began to ponder on daily practice for mutual prosperity and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art education for unification from the practice of peace that restores one’s inner self and daily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