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부용․홍소월의 가창방식 분석연구 -경기12잡가 <유산가>에 사용된 목기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sis of Vocal Technique of Singers Pak Pu-yong and Hong So-wǒl - Focusing on the Yusan'ga in Kyǒnggi chapka -)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7.06
59P 미리보기
박부용․홍소월의 가창방식 분석연구 -경기12잡가 &lt;유산가&gt;에 사용된 목기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8호 / 231 ~ 289페이지
    · 저자명 : 최세은

    초록

    가창방식이란 노래 부르는 것에 대한 방법과 방식 일체인데, 이는 노래 부르는 사람이 목을 기교적으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선율의 곡조가 유사하더라도 부르는 사람마다 음악적 질감이 다른 것은 가창자의 목기교 구사 방식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목기교는 그 음악적 유형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실질적 요소인 것이다. 이러한 목기교를 밝히는 것은 곧 창자가 노래 부르는 방식의 구성 원리와 나아가 그 전모를 밝히는 것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간에는 노래 부르는 방식은 개인의 개성이나 경험에 따른 것이라 간주되어 학술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목기교가 분자와 같이 작은 의미 단위들의 구성 및 결합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가창방식에 관한 학술적 계측․계량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특히 그간에 조명되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창자이자 당시의 스타였던 박부용․홍소월을 선정하였다. 이들이 취입한 곡목 중 경기 12잡가의 백미로 꼽히는 <유산가>를 대표로 두 창자가 구사한 목기교의 유형과 양상을 파악하였다.
    우선 선행의 채보 자료를 검토하고 그것에 사용된 시각적 기호를 차용 및 재설정함으로써 객관성과 공동의 합의를 얻은 부호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목기교의 유형은 떠는목․미는목․흘리는목․끼는목․뻐드렁목․속목․감는목․굴리는목․치는목의 9가지로 대분류되었으며, 제Ⅲ장에서 마루별로 목기교가 쓰인 지점인 사용음에 따라 그 용례를 확인하였다. 이는 다시 선율진행형․꾸밈․속도․발성․강약의 다섯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설명하였다.
    박부용․홍소월 창의 <유산가>에서 최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목기교는 떠는목이다. 그리고 치는목, 감는목, 끼는목, 뻐드렁목, 굴리는목, 속목의 순서로 사용되었고 미는목, 흘리는목은 등장하지 않았다. 특히 떠는목, 치는목은 모든 마루에서 나타난다. 두 창자는 음악적으로 지루하지 않게 끼는목, 굴리는목, 뻐드렁목을 사용할 뿐 아니라, 음색과 음질적으로 분명하게 차이를 느끼게 하는 속목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음악의 절정에 해당하는 마루에 다채로운 목기교를 구사함으로써 음악을 고조시키고 흥미로운 진행을 이끌어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박부용․홍소월은 음악적 내용과 연관하여 목기교를 어디에서 사용할지 판단하는 능력, 즉 목기교의 구성 방식과 다양한 유형의 목기교를 구사할 수 있는 음악적 기량 등이 탁월한 창자라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박부용․홍소월 <유산가>의 목기교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가창의 구성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는데, 크게 세 가지 점에서 의미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박부용과 홍소월의 <유산가>를 최초로 학술적 자료로 채보했을 뿐 아니라, 그 실제 가창을 시각적 기호로써 재현하고 학술적․합리적 방법으로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둘째, 노래 부르는 방식과 같이 창자의 개성과 임의성이 강조된 음악적 특징을 악보로 재현해낼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면, 앞으로 잡가 뿐 아니라 전통 성악의 연구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창에 있어 적확한 지시를 가능하게 하여 교육의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목기교 분석은 다양한 유형의 가창방식이 구성되는 원리와 그것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작금과는 다른 노래의 유형이자 전통사회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옛적의 노래 부르는 방법을 지금 시대에서 환기시킨다면 옛 소리의 복원이나 응용의 가능성도 열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영어초록

    The singing style is the method and manner about singing a song. It appears differently way depending on how the singer uses his vocal technique. That each singer’s musical feel is different although the tunes of the melody are similar is attributed to the singers’ way to make use of the vocal technique. That is, the vocal technique is the substantive element which makes its musical type diverse and abundant. Revealing this vocal technique is directly connected with revealing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the singers’ singing method and its full account.
    The singing method has been considered to be a thing following the personal individuality or experience and has not been dealt with academically. However, as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vocal technique was the constitution and combination of the small meaning units like the molecule, the academic measuring and gauging on the singing method were attempted. In this paper, Pak Pu-yong 朴芙蓉 and Hong So-wǒl 洪素月 were selected who were the singers and st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ype and aspect of the vocal technique both singers made use of were apprehended through Yusan'ga 遊山歌 chosen as the best of Kyŏnggi sibi chapka 京畿十二雜歌 among the song list they recorded. First of all, the mark obtaining the objectivity and common consensus was set by borrowing and resetting the visual sign used for the precedent score data. As a result, the type of vocal technique was classified into 9 things: ttŏnŭn mok 떠는목, minŭn mok 미는목, hǔlinŭn mok 흘리는목, kkinŭn mok 끼는목, ppŏdŭrŏng mok 뻐드렁목, songmok 속목, kamnŭn mok 감는목, kullinŭn mok 굴리는목 and ch’inŭn mok 치는목 and the example of the use note, the spot where the vocal technique was used according to each period in chapter Ⅲ. It was explained in detail in the light of 5 elements: melody progress, decoration, speed, vocalization, and dynamics.
    The vocal technique used much finally in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ǒl is ttǒnŭn mok followed by ch’inŭn mok, kamnŭn mok, kkinŭn mok, ppǒdŭrǒng mok kullinŭn mok, songmok, and minŭn mok and hŭlinŭn mok did not appear. Especially ttǒnŭn mok and ch’inŭn mok appear in all periods. Both singers not only used the kkinŭn mok, kullinŭn mok, and ppǒdŭrǒng mok not to be boring musically but also made use of songmok. Also it was confirmed they elevated the music and attracted the interesting progress by making use of a variety of vocal techniques in the period applicable to the peak of music. It is confirmed through it that Pak Pu-yong and Hong So-wǒl have the ability to judge where to use the vocal technique in association with the musical contents and have the excellent musical capability to make use of various types of vocal techniques while knowing how to constitute the vocal technique.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singing by analyzing the vocal technique of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ǒl it is significant in three points.
    First, this study tried not only to make Yusan'ga by Pak Pu-yong and Hong So-wǒl into the academic material for the first time but also to reproduce the real singing into the visual sign and understand the constitution principle in an academic and rational way.
    Second, if it suggests the methodology that can reproduce the musical characteristic emphasizing the singer’s individuality and temporality into the score like the singing method, it will be able to be expanded to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voice as well as the folk song in the future. It will enable the exact directions in singing, contributing to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
    Third, the vocal technique analysis can be a methodology that can confirm the principle various types of singing methods are constituted, and the value and meaning it has. Therefore, if the way to sing an old song that is a different type of song from these days was formed naturally in the traditional society is educated in present times, it is expected the old sound will be able to be restored or appl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