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후변화를 향한 한국 청년들의 목소리 : 기후변화로 인한 감정과 대화 시도를 중심으로 (Voices of Korean Young Adults on Climate Change : Emotions and Communication Attempts Driven by Climate Chang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4.10
41P 미리보기
기후변화를 향한 한국 청년들의 목소리 : 기후변화로 인한 감정과 대화 시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8권 / 5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이혜선, 호규현

    초록

    기후변화 문제 속 한국의 청년들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당사자인 한국 청년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기후변화를 향한 한국 청년들의 감정과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기후변화와 한국 청년 간의 관계를 다뤄왔던 기존 논의를 확장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정량적 자료 수집 방법인 설문조사와 정성적 자료 수집 방법인 초점 집단 토론을 함께 적용하는 혼합방법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거주 만 19세~만 34세에 해당하는 청년 500명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감정과 인식을 질문하였다. 개방형 문항 답변 분석 결과, ‘심각’, ‘걱정’, ‘체감’, ‘불안’, ‘두려움’ 등이 주요 단어로 등장하였고, 폐쇄형 문항 답변에서도 ‘불안’이나 ‘두려움’에 동의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반면, 기후변화로 인한 감정 가운데 비동의 비율이 가장 높은 감정은 ‘낙관(긍정)’이었다. 또한, 기후변화에 관한 대화 시도 경험을 질문하였을 때 ‘기후변화에 대하여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않는다’에 동의하는 비율 역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점 집단 토론에서는 세 가지 결과의 맥락을 살펴보았는데, 참여자들은 기후변화 이야기가 ‘심각’과 ‘체감’에 머물러있고 낙관 가능성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를 주제로 하는 대화에 관한 오해가 발견되기도 했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공포, 위협, 압박 등을 벗어난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Climate change is a serious issue because it has the potential to produce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difficulties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hen young adults believe they are powerless to address or reduce climate change, they may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pain, frustration, or betrayal.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elaborate understanding of this severe issue by examining how young adults, as critical stakeholders in climate change issues, perceive and feel about climate change.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that examines the emotions or perceptions of Korean young adult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concentrated on the concept of "young adults" as a signifier that has been constructed by external interpreters, rather than examining their firsthand perspectives on climate change issues in Korea. In order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emotions of Korean young adults on climate change. It places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o the voices of Korean young adults, who offer their firsthand perspectives on climate change issues. We employed a mixed-methods approach, conducting a survey with a total of 500 Korean young adults, followed by focus group discussions to interpret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show negative perceptions or emotions due to climate change, such as seriousness, concern, anxiety, and fear. It was reported that 64 percent of respondents experience anxiety due to climate change, and around fifty-nine percent experience fear. Optimism is the most disagreed-with emotion among the perceptions or emotions related to climate change (87.8%). Moreover, around 40 percent of respondents reported not discussing climate change with others. The contexts of these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the firsthand perspectives of nine Korean young adults during the focus group discuss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young adults experience severe and apprehensive emotions when they observe tangible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including temperature fluctuations, natural disasters, and shorter seasons. Additionally, they can escalate into anxiety or fear when they perceive it as challenging to find a clear solution or hope for addressing climate change. They also pointed out that feeling optimistic about climate change is difficult because young adults have yet to experience positive impacts or results from these issues. In particular, the media predominantly communicates information regarding the detrimental effects of climate change-related behavior or policy, as opposed to the beneficial effects. We further found some misunderstandings related to discussions of climate change. For instance, one group is concerned that they might come across as nagging when discussing climate change. Another group, however, expects they cannot engage actively in discussions because they don't have in-depth knowledge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expands previous research addressing the perceptions and emotions of young adults worldwide regarding climate chang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the field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