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첫날밤 목 잘린 신랑과 누명 쓴 신부’유형 설화에 나타난 갈등 구조와 전승 체계 (Conflict Structure Displayed in the Concrete Folktales ‘Groom with His Throat Cut on Wedding Night and Falsely Accused Bride’ and Transmission System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3.12
32P 미리보기
‘첫날밤 목 잘린 신랑과 누명 쓴 신부’유형 설화에 나타난 갈등 구조와 전승 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7호 / 147 ~ 178페이지
    · 저자명 : 한유진

    초록

    ‘첫날밤 목 잘린 신랑과 누명 쓴 신부’ 유형 설화는 사회에서 부여한 질서에 벗어난 계모의 욕망이 한 가정을 해체에 이르게 한 서사이다. 이 유형 설화는 다른 유형의 계모설화와달리 전실아들의 죽음이 가계 단절로 이어져 가부장제의 위기가 표면화된 설화라는 점에서주목된다. 계모의 전실아들 살해는 자기소생에게 계승권을 넘겨주고자 하는 욕망에서 기인된 것으로 기존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것이기에 절대 용납될 수 없는 욕망이다. 바로 이러한 지점에서 계모의 욕망이 ‘악’으로 규정되며,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제거된다.
    이 유형 설화에서는 전실아들의 죽음에 대한 처벌 행위가 계모뿐만 아니라 계모아들에게까지 확대된다. 계모아들은 가계 계승자의 자격을 갖춘 존재로 전실아들의 죽음에 윤리적 혐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부장에 의하여 제거되는데, 이는 전실아들의 부재를 가계의 단절과 동일시하는 시선이 반영된 결과이다. ‘전실’ 아들만을 계승자로 인식하는 시선의주체는 전실이며, 텍스트 밖으로 확대하면 계모의 지위에 놓여있지 않은 여성 전반이 그 대상이 된다. 이들은 자신의 존재가 부재할 때 자기소생에게 가해질지도 모를 위협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계모의 존재를 더욱 극악하게 변모시키고, 체제의 질서에 위협적인 존재로 이끌어냄으로써 계모의 욕망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대하여 계모설화 전승을통해 반복하여 상기시킨다.
    전실아들을 살해한 계모 징치는 가계 계승권을 사이에 둔 전실과 후실의 갈등에서 전실의 욕망이 승리한 결과이다. 계모와 전실의 공존할 수 없는 욕망이 충돌했을 때, 전실의 욕망을 승리로 이끈 것은 가부장제 질서 속에서 살아가는 여성 존재이다. 여성들은 ‘장자 계승 원칙’의 명분 아래 계모의 욕망으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지키고자 했으며, 사회 유지를위하여 체제의 질서는 보존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소수자인 계모의 욕망을 ‘악’으로 규정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주장은 가부장제와 합의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계모설화는 소수자 계모에 대한 거리두기를 시도하고, ‘다름’을 선언하는 다수자의 목소리로, 기존 질서를온전히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능한다.

    영어초록

    The concrete folktales ‘Groom with his throat cut on wedding night and falsely accused bride’ are stories which described a stepmother's desire, which is deviant out of the order given by the society, leads a family to dissolution.
    This concrete folktales draws attention in the point that the crisis of patriarchy was risen to the surface by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which was connected to the discontinuity of family, different from other concrete stepmother folktales. Stepmother's murder of the former wife's son was caused by the desire to hand over succession to her child, which desire can never allowed, since that threatens the existing social order. At this point,stepmother's desire is defined as an ‘evil’, which will be inevitably eliminated to maintain social order.
    In the concrete folktales, the punishment act is extended to the stepmother's son, not only stepmother, for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Stepmother's son is a man who has the right as a successor of the family and he has no ethical suspicion on the death of the former wife's son, nevertheless, he is eliminated by patriarchy, this is the result that reflects the view which identifies the absence of the former wife's son with the discontinuity of family. The former wife is the subject of the view that acknowledges only ‘the former wife's’ son as the successor, when we extend it to the outside of the text,the whole women who are not in the position of stepmother become the subjects. They transform the existence of stepmother to be more evil to resolve the anxiety about the threat that might be inflicted on their children when they are absent, to repeatedly remind how dangerous stepmother's desire is by drawing a stepmother as a threatening existence in the order of social system through the transmission of stepmother folktales.
    Castigation of the stepmother who murdered the former wife's son, is a result that the former wife's desire wins in the conflict between the former wife and the second wife for family succession. When the desire of the stepmother and the former wife conflicts, which cannot coexists, the object that led the former wife's desire to the victory was the existence of woman who live in the order of patriarchy. Women tried to protect their right from stepmothers' desire under the justific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eldest son's succession’, so that the women's insistence that tried to define stepmothers'desire, who were in the minority, as the ‘evil’, in the aspect that the order of system must be protected to maintain the society, could build an agreement with patriarchy. Stepmother folktales functions as a strategy to entirely maintain the existing order, which attempts to keep a distance from the minority stepmothers and the majority's voice that declares ‘differenc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