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Metaverse-Integrated Curriculum Linked to Non-Curricular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4
18P 미리보기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8호 / 83 ~ 100페이지
    · 저자명 : 조혜영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메타버스를 적용한 교과목이 메타버스에 대한 희생, 혜택, 가치 및 디지털 학습역량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청권역 A대학교 유아교육과 예비 유아교사 중 메타버스를 적용한 K-Project 교과목 수강생인 8명(실험집단)과비교집단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3.0을 활용하여 비모수 통계방법 중 맨-휘트니 U 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으로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별 기술통계치 분석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경우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과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감소되었고,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과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증가되었다. 비교집단은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과 하위요인에서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증가 된 반면,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과 일부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감소되어 메타버스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전 평균점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보면,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 전체와 하위요인인 콘텐츠 품질, 기술적 노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검증된것이다. 반면, 혁신 저항은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효과성이 나타나지 않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혜택 전체와 하위요인(유용성, 정보 접근의 편의성, 사회적 정체성),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 전체와 하위요인(의사소통, 협업, 비판적 사고, 창의성, 정보, 문제해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비교집단의사전⋅사후 차이검증을 보면, 모든 연구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 차이검증 결과, 모든 연구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교과목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들의 디지털 학습역량 강화와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메타버스와 같은 혁신적 디지털 학습 도구의 실질적적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averse-applied courses supported by non-cur ricular programs on perceived sacrifices, benefits, the value of the metavers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the Chungcheong region. Among them, 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K-Project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 maining 9 pre-service teachers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Using SPSS 23.0,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both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 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begi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measured variables. The experimental group's post-test mean score for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was lower than its pre-test mean score. Conversely, the post-test mean scores for perceived benefits, valu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related to the metaverse, along with their sub-facto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mean score for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 In contrast, the post-test mean scores for perceived benefits, valu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along with some sub-factors, decreased com 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indicating that positive effectiveness related to the metaverse was not found.
    The analysis of pre-test mean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firming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hat the overall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 verse and its sub-factors, such as content quality and technical eff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vali 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In contrast,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sistance to innovation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was not demonstrated. The overall perceived benefits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usefulness, ease of ac cess to information, social identity), the perceived value of the metaverse, and the overall digital learning com petency along with its sub-factor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information, and prob lem-solving)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The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post-tes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research variabl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 utilizing the metaverse through the support of ex tracurricular programs can positively impact learners'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promote their engage ment in learning. This provides important evidence for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innovative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the metavers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