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배경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목을 중심으로-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for Migrant Background Student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2
34P 미리보기
이주배경학생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51권 / 379 ~ 412페이지
    · 저자명 : 강주영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이주배경학생을 대상으로 사회 교과서 주제를 활용한 문화 수업을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주배경학생은 일반 학생들과 달리 언어나 문화적인 이해에서 결핍을 경험하고 있으며 학업 능력 부족으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에 정부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실력 향상과 학교생활 및 한국 사회 적응을 돕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주배경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안으로 사회과 과목을 활용하여 문화 수업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주배경학생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수업의 활용 매체로 광고 콘텐츠를 사용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주제를 바탕으로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고, 광고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을 구성한 것이다. 수업은 모두 3단계로 진행되는데 ‘광고 보기 전 – 광고 보기(이해 및 분석) – 광고 보기 후’의 과정이다. ‘광고 보기 전’ 단계에서는 주제에 대해 교사와 이야기하며 탐색한다. ‘광고 보기’ 단계에서는 광고를 보고 오늘 주제와 연결하여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광고 보기 후 단계에서는 광고를 자신만의 시각으로 재구성하는 창조적인 활동과 함께 이주배경 부모의 문화와 한국 문화를 비교하여 이해하는 상호문화 관점의 활동을 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주배경학생에게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업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수업 방안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며 추후에도 더 구체적인 교과목을 활용한 수업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cultural lessons for migrant backgrou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Unlike other students, migrant background students experience deficiencies in langua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and often struggle in school due to lack of academic skills. Therefore, the government has been using various programs to help migrant background students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adapt to school life and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organized a culture class as a social studies subject as a wa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opic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he lessons were organized using advertising content. The lessons ar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Ad Viewing”, “Ad Viewing” (understanding and analysis), and “Post-Ad Viewing”. In the “Pre-Ad Viewing” stage, students explore the topic by talking to the teacher. In the "Ad Viewing" stage, students watch the advertisement and connect it to today's topic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tent. Finally, in the “Post-Ad Viewing” stage, students will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to reconstruct advertisement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dditionally, students engage in activitie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by comparing it with the culture of migrant backgrounds par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a lesson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for migrant backgrounds students centered on specific subjects. However,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lesson plan, and more specific subject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人文科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