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D의 아홉 목숨-3D와 와이드스크린의 매체경쟁에 관한 고고학 (The nine lives of the 3D format - Archeology of a media competition between 3D and wide scree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0.02
20P 미리보기
3D의 아홉 목숨-3D와 와이드스크린의 매체경쟁에 관한 고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42호 / 139 ~ 158페이지
    · 저자명 : 이준서

    초록

    19세기 후반에 이른바 ‘입체경 광풍 Stereoskopomanie’이 상당히 오랫동안 서구를 휩쓸었던 이후로 입체성과 3차원 공간경험을 추구하는 시각문화는 주로 입체시 기술과 영화디스포지티브가 결합한 3D 영화의 형태로 추구되어왔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마침내1950년대 초에 다시 미국에 불어닥친 ‘3D 광풍 Craze’으로 결실을 보는 듯했다. 그러나3D 영화의 붐은 고작 2년 만에 다시 막을 내리고 만다. 3D 포맷이 곧 공생관계를 이루던커브드 와이드스크린(시네라마, 시네마스코프)과 경쟁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후자 역시 ‘안경 없는 3D’라는 구호와 함께 관람자들에게 몰입감 있는 시각적 체험을 약속했던 까닭이다.
    1920년대 말의 첫 번째 경쟁에서는 양자가 모두 관철되지 못함으로써 무승부를 이루었다면, 1950년대에는 3D 포맷이 와이드스크린과의 매체경쟁에서 완전히 밀려나고 만다. 두포맷의 이러한 경쟁관계는 21세기 초에 다시 한번 반복된다. 이번에는 영화가 아니라 텔레비전이 싸움터가 된다.
    이 글은 이제까지 영화사에서 주로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기술되어 온 3D와 와이드스크린의 역사를 매체경쟁의 관점에서 하나로 묶어 매체고고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시각문화의 대안적인 계보를 구성해보고 이를 통해 이들을 하나의 단위로 엮을 수 있게 만드는 근원적인 동인을 발견해내는 것을 연구의 주된 목표로 삼는다. 이 과정에서 영상 예술매체에 관한 기존의서술에서는 3D가 과연 어떻게 표상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었는지를 새로운 맥락안에서 논구한다. 또한 이때 토포스 연구로서의 매체고고학과 관련해 하위개념들(포맷, 양식수단)의 도입과 활용도 시도된다. 끝으로 3D의 고질적인 약점으로 지적되는 과매개성을 어떻게 미학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영어초록

    Nach der Stereoskopomanie im späten 19. Jh. taucht die stereoskopische visuelle Kultur h auptsächlich in d er F orm des 3 D-Kinos a uf. In d en 5 0er Jahren d es 2 0. J h.
    gab es einen Boom von 3D-Kino. Es trat jedoch bald in Konkurrenz mit der Breitleinwand in Form etwa von Cinerama oder CinemaScope und scheiterte daran, sich durchzusetzen. Diese Konkurrenzgeschichte wiederholt sich am Anfang des 21.
    Jhds., dieses Mal im Bereich der Fernsehgeräte. Vergleicht man die Werbung für 3D-Fernseher mit der für gebogene Fernseher, appellieren beide eigentlich an das Gleiche: Immersion. Dies ist der Schlüssel, um zu verstehen, warum Stereoskopie überhaupt mit der Breitwand in Konkurrenz treten musste, und warum die Breitwand eigentlich eine Wölbung zu brauchen glaubte. Eingehend auf diese Geschichte eines medialen Wettstreits werden in diesem Text einige methodologischen Fragestellungen der Medienarchäologie weiter diskutiert.
    Hinsichtlich der Frage, ob das stereoskopische Bild ohne diese hypermediacy auskommen kann, bin ich ziemlich pessimistisch, nicht weil ich das Potenzial und die technische Weiterentwicklung von 3D bezweifle, sondern weil ich eine gewisse Wirrnis bezüglich dieses Begriffes wahrnehme. Bei der Stereoskopie, so meine These, werden viele ihrer Eigentümlichkeiten allzu leicht als hypermediacy wahrgenommen. Um die zweite These betreffs hypermediacy zu formulieren, dürften wir den Standpunkt wechseln und rückfragen: Gibt es überhaupt ein Medium, das unsichtbar geworden ist? Die angebliche Unsichtbarkeit eines Mediums hängt sehr eng mit der Gewöhnung zusammen. Und besonders bei den Kunstmedien spielt die den Medien eigene Ästhetik dahingehend eine entscheidende Rolle. In der ganzen Geschichte der Stereoskopie wurde ihr ästhetisches Potential wenig ausgearbeitet und kaum ausgenutz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