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역 별신굿 춤에 나타난 ‘나무(木)’의 상징성 연구 (Study of the symbolism of the 'tree' in the Byeolsingut dance in the Yeongnam reg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8
27P 미리보기
영남지역 별신굿 춤에 나타난 ‘나무(木)’의 상징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춤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춤학회誌 / 10권 / 2호 / 77 ~ 103페이지
    · 저자명 : 민성희

    초록

    본 연구는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신목 신앙의 형태와 영남지역의 남해안과 동해안 별신굿 춤이 지닌 ‘나무(木)’의 상징성을 살펴보고, 그 관련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나무’의 상징성은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고조선 단군신화의 신단수, 고구려 동맹제의 목수신, 마한의 솟대 숭배 신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신목 신앙은 별신굿 춤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남해안 별신굿의 경우, 굿판에 세워진 서낭대(선왕대), 거리굿(시석굿)에서 추는 송신춤, 들맞이 당산굿, 일월맞이(칠성굿), 골맥이굿, 부정굿, 가망굿, 제석굿, 선왕굿, 용왕굿, 큰굿(손굿, 환생탄일)에 손전을 들고 추는 춤, 큰굿의 손굿의 대잡이 등에 나타났다. 동해안 별신굿의 경우, 굿판에 세워진 신대(神代), 내당굿의 손님굿과 외당굿의 심청굿에 손대를 들고 추는 춤, 외당굿의 영산맞이(이운맞이)에서는 용선을 움직이며 추는 춤 등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고대 신목 신앙은 남해안과 동해안 별신굿 춤이 지닌 ‘나무’의 상징성과 유사한 맥락을 지니고 있었다. 신과 인간, 하늘과 땅의 매개적 존재로 숭배되어 온 신목 신앙이 신화적 형상으로 나타나 고대 무(巫)문화의 기반을 이루는데 함께 하였다, 이는 오늘날 별신굿 춤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고대 신목 신앙을 통해 별신굿 춤을 분석하는 시각은 한국의 무(巫)문화를 좀 더 함의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 of belief in sacred tree appearing in ancient myths and the symbolism of 'tree' in the Byeolsingut dances of Namhaean and Donghanan of the Yeongnam region, and to reveal the relationship. The symbolism of the ‘tree’ appears in the worship of the Shindansoo in Dangun mythology of Gojoseon, Moksooshin at the Ritual of Dongmaeng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and Sotdae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Mahan that appear in ancient mythology. This belief in sacred tree can also be found in the byeolsingut dance. First of all, in the case of Namhaean Byeolsingut, Seonangdae built on a gutpan, Songsin dance performed at Georigut, Deulmaji Dangsangut, Ilwolmaji, Golmaegut, bujeong-gut, Gamangut, Jeseokgut, Seonwanggut, Yongwang-gut, Big-gut(Son-gut, hwansaengtan-il) dances with a hand held, and the Daejae of Son-gut. In the case of Donghaean Byeolsingut, you can find it in the Shindae(神代) built on the gutpan, the dance of raising one's hand to Sonnim-gut of Naedang-gut and the Simcheong-gut of Oedang-gut, and the dance of moving dragons in Yeongsanmaji of Oedang-gut. As such, the ancient belief in sacred tree had a similar context to the symbolism of the ‘tree’ in the Byeolsingut dances of Namhaean and Donghanan. The belief in sacred tree, which has been worshiped as an intermediary between gods and humans, and heaven and earth, appeared in mythical form and joined in forming the foundation of ancient shaman arts culture. This is reflected in today's Byeolsingut dance as well. Understanding the byeolsingut dance through the belief of the ancient sacred tree could help us understand Korea's shamanl arts culture in a more meaningful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춤학회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