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융복합 신규 교과목 개발 (New Basic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to improve Job Qualification for Undergraduat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6.03
21P 미리보기
대학생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융복합 신규 교과목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 수록지 정보 : 취업진로연구 / 6권 / 1호 / 89 ~ 109페이지
    · 저자명 : 백상미, 정주영, 정선호, 이상무

    초록

    본 연구는 통섭적 사유와 소통의 기회를 확대시킴으로써 대학생의 취업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 융복합 교과목인 ‘초협업을 알아보자’의 교과 콘텐츠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융합’ 및 ‘창의’에대한 학문적 사회적 요구의 증가는 대학들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왔다. 지금까지 대학에서의 융복합 교육은 인프라 구축 및 전공 개설 등 양적 확대를 가져왔지만 질적인 측면의 교과목콘텐츠의 체계화에는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융복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교육과정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초 융복합 교과목에 대한 콘텐츠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협업 학습방법에 대한 이론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P 대학교에 개설된 융복합 전공과목 중 대학생이 취업 및 진로를 위해 필요로 하는 역량 중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협업 역량을 중점을 둔 관련 교과목들을 수강한 학생들과 협업 관련 프로젝트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이 협업역량 함양을 위한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교과목 콘텐츠에 적절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업 역량에 대한 학생들 스스로의 탐색을 통한 이해와 기능적인 능력들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초협업을 알아보자’ 교과목 콘텐츠를 제안하였다.
    협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 연구는 융복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활동에서 반드시필요한 부분으로 융복합 교육체계를 확고히 하는 토대가 될 뿐 아니라 학습자들의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발표능력, 창의성 등을 향상시키고, 섬김과 나눔의 인성 교육을 통한 협업적 가치관을 함양시키는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 간의 협업 활동을 통하여 기업환경에갖춰야 할 구성원 역량으로 가장 우선시 되고 있는 협업 능력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통하여 혁신적인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협업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인재로서 그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초 융복합 교과목의 개발은 융복합 교육 발전의 하나의 시도가 되고, 융복합 교육 체계를 확고히 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sic convergence curriculum “Discovering Superior Collaboration” contents, which is intend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competency with better consili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needs of convergence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with growing social and academic needs for ‘collaboration’ and ‘originality’. As the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increase, the more numbers of university programs are offering convergence class and open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as a new major. As a result, the present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has reached a certain level of quantitative expansion. However, the qualitative aspects of curriculum contents have not developed accordingly.
    Therefor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and develop proper curriculum, further research for the introductory convergence education courses is required.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two groups of students from P university ; a group of students who took the class focusing on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employment competencies and the other group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am project based on collaboration.
    In terms of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were used to better understand what factors are necessary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collaboration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Discovering Superior Collaboration” curriculum is suggested and it is expected to lead students to better develop self-examination, self-understanding competency, and finally collaboration.
    The goal of the “Discovering Superior Collaboration” i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individual competency during the process of working in a group. To achieve this goal, the curriculum covers various methods of systemic collaboration process including effective leadership, discussion, communication, group working, decision-making skills and so on.
    Development of “Discovering Superior Collaboration” curriculum rearing collaboration competency might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 variety of new basic convergence curriculum.
    In addition, it would be helpful for students to have better employment competency by using new ideas and solution based on collaborative network among teachers and students in learning process.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because a small group of sample and limited methods like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are used. When future study overcomes these limitations, more various and proper basic curriculum contents could be suggested. In addition, the enhancement of basic convergence could be applied to other eduction field and, as a result, students’ employment competency could be impro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취업진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