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종(警宗)제도의 개선방향: 경목(警牧)을 중심으로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Police religion system: centering on the police missiona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23P 미리보기
경종(警宗)제도의 개선방향: 경목(警牧)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정복지연구 / 72호 / 71 ~ 93페이지
    · 저자명 : 천정환

    초록

    경종(警宗)제도란 성직자가 경찰에서의 교정교화행정의 일환으로 유치인 및 범죄인에 대한 불교, 기독교 등의 신앙적 교화사업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경종의 하나인 기독교적 경찰선교인 경목(警牧)은 경찰서내외에서 위와 같은 직무를 하는 목사를 말한다. 원래의 경찰선교는 해방이후에 “갇힌 자”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려는 헌신적인 개인 목회자들에 의해 교도소 선교처럼 유치인과 범죄인만을 상대로 하는 경찰서 내에서의 교정사역(선교)이 중심이었고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범죄인 등에 대한 경찰에서의 교정교화활동에서 타종교들보다 헌신적인 역할을 하여 왔다. 그런데 이때는 경목제도는 경찰공식조직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들어와 경찰관에 대한 종교활동은 경종중 에서 경목제도만 치안행정조직의 일부로 공식화되면서 경찰선교의 중심은 범죄인외에 경찰관이 중심 대상으로 변질되었다. 이는 권위주의 정권의 이익과 보수화된 한국 교회의 이익이 역동적으로 서로의 이익을 추구하면서 정권의 안정과 기독교의 확대 결합된 배경이 있었다. 그 결과 경찰선교는 치안행정에 기여한다는 명분으로 대상이 확대되어 왔다. 그 뒤 경목독점의 위헌적인 문제점이 제기되자 2007년에는 경찰위촉 목사, 승려, 신부운영규칙으로 입법화되었다. 그런데 경종의 하나인 경찰선교는_다른 경종도 마찬가지이지만 형식적인 실적을 중시하는 계량화된 경찰복음화와 성과주의적 선교에 치중하여 경찰선교는 다양한 친교 등을 중시하면서 정치화, 세속화, 관료화 되어 왔다. 그 결과 본래적 교정복지로서의 경찰선교인 유치인과 비행소년 등에 대한 교정과 심적 안정과 복음화를 통하여 범죄인을 교화시키려는 간접적 교정사역은 축소되었고 경찰관의 정서적 안정이 주목적이 되었고 직장선교화되었다. 또한 오늘날 경찰선교의 패러다임이 복지적 경찰선교로 이행함에도 경찰선교복지에 대한 전문성이 거의 없다 보니 선교의 실효성문제 등 여러 문제점이 노정되어 왔다. 그리고 경찰선교에 관한 선행연구들도 치안행정의 공식적 영역인 경목제도의 운영과 경찰의 복음화에만 치중하고 미시적 측면에서만 접근하는 한계를 보여 경찰선교의 거시적 측면과 경찰선교복지적 측면과 본래적 경찰선교인 교정선교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본래적 경찰선교인 유치인 등에 대한 교정복지에 초점을 맟추어 경찰활동을 중심으로 경찰선교의 개선방안을 운론하였다.

    영어초록

    Police religion system refers to the prister's conduct of culture-related missio for police officers and religious correction for criminals as part of the police administration. A police chaplin, one of the police religion system, refers to a pastor who performs the above duties. After 8.15 liberation, Korean police mission was centered on mission at the detention center in the police station like correctional mission by dedicated private pastors trying to fulfill God's love for "the locked up.“Until then, it was not included in the police official organization The main focus of the Korean police mission was the police officer after the police chaplin system was established by the state ever since only police chaplin as religious activities for police men and criminals have only been formalized as part of the korean police organization in 1960s. The background of police chaplin is a dynamic combination of the interests of the authorative regime and the interests of the conservative church. After that, when the police chaplin monopoly was raised, the police-commissioned prister's operating rules were established in 2007.
    But among them, the police chaplin- there are differences in degrees in other police religions, too_ korean police mission has been expanded and focused on quantified police mission work and it has been politicized, secularized and officialized, with emphasis on various friendships. Therefore, the original primary police mission for persons detained in the detention center and indirect correction mission to rehabilate criminals by evangelizing police officers was almost formalized. Various problems of Korean police mission have been identified,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ission and so on owing to police mission by police chaplin who has little expertise on police mission welfare eventhough the paradigm of police mission has shifted to a police mission welfare.
    They pass over microscopic aspects and police mission welfare and the importance of correction mission because prior studies of korean police mission show a limit to access only microscopic aspects. Therefore, I asserted in this paper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police mission with a focus on pol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original mission work on the detention cen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