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사랑방 목가구의 표현과 의미 구조 분석 (Analysis of Expressive Features and Structural Meanings in Korean Men’s Furniture of the 19th centur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2.12
1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사랑방 목가구의 표현과 의미 구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권 / 6호 / 147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박영순

    초록

    본 연구는 조선후기 사랑방 목가구의 표현과 의미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한국전통문화가 지닌 조형미가 어떠한 원리에 의해 의미를 형성하고 드러내는가에 대한 근원적인 인과관계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표현과 의미의 관계구조를 밝히기 위해, 기호학이라는 구조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표현적으로 드러나는 가구의 조형특성을 사상적 배경과 미의식이라는 고차원적 의미와 연관지어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은 기호학자 그레마스의 동위성 분석과 의미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4단계로 나누어 표현과 의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조선시대 선비의 사랑방 공간을 대표하는 책장, 문갑, 탁자, 서안, 연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형태와 구조, 색채, 재료와 마감, 표면장식의 표현적 특성을 바탕으로, 그 속에 내재된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선후기 사랑방 가구가 지닌 표현 특성은 형태와 구조에서 음양(陰陽)의 조화를 통한 시각적 균형미를 나타내었고, 차분하고 안정감 있는 톤으로 자연재료의 색채를 드러내었다. 자연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드러내는 방식으로 가공이 이루어졌고, 표면장식에서는 다양성을 존중하되 절제된 형식으로 기능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고 간결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특성을 통해, 사랑방 가구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는 균형, 상반된 요소들의 조화, 과도함을 배제한 절제의 미의식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미의식 속에는 <단절과 소통>, <인위와 자연>, <억제와 발현>, <강인함과 부드러움>, <장식과 실용> 등의 미(美)적 원리가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미의식의 바탕에는 선비의 정치와 학문의 규범이 되었던 유가사상이 중용(中庸), 엄격한 위계질서, 수신(修身)과 극기(克己)의 이념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기호학을 통해 사랑방 가구가 유가사상의 핵심적 가치관을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균형, 조화, 절제의 미의식을 통해 사랑방 가구의 고유한 조형미가 완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기호학은 기호가 지닌 다양한 의미의 생성과 발상에 유용한 학문으로, 이러한 의미들이 결집되어 특정 사회의 문화적 산물이 만들어진다. 디자인은 의미발상을 토대로 하여 조형적 표현과 결과물을 이루어내는 프로세스에 관한 학문으로, 기호학을 통해 디자인의 발상적 개념이 논리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표현중심이 아닌 의미적 발상중심의 교육이 체계적으로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논문이 제시한 기호학적 분석방법이 디자인의 의미와 발상과정을 발전시키는데 기초적 방향을 제시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of what principles cause the aesthetic shapes in Korean sarangbang furniture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Greimas’ isotopic and semantic structure analysis, this research analyzed the traditional Korean men’s furniture in four steps; signifier analysis, isotopic analysis, semantic structur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ressive qualities of sarangbang furniture included visual symmetric aesthetics, and the hues of natural materials with dark tones. The manufacturing process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materials; while diversity was respected in decorations, function as restrained form was also important with a concise image.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sarangbang furniture revealed a balance, a harmony of contrastive elements, and a restrained aesthetics. Within these qualities, it was seen that aesthetic principles, such as "severance and communication," "artifice and nature," "restraint and manifestation," "toughness and softness," "filling and emptying" and "decoration and utility" were in a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 At the basis of this aesthetic thought appears to be Confucianism, which had been the model for seonbi politics and schola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