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奎報의 <呈張侍郞自牧一百韻> 분석-청년기 이규보의 문학세계- (Consideration for <呈張侍郞自牧一百韻> of Lee Gyu Bo (李奎報)-Comments for Reviewing Youth Period of Lee Gyu Bo)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李奎報의 &lt;呈張侍郞自牧一百韻&gt; 분석-청년기 이규보의 문학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0호 / 49 ~ 82페이지
    · 저자명 : 배규리

    초록

    이 글은 그 동안 한문학 연구에서 비교적 주목되지 못했던 李奎報 求官詩의 창작배경 및 문학적 특징을 밝혀, 청년기 이규보의 삶과 문학을 새롭게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학은 전근대 문인의 주요한 삶의 방편이었으며 특히 구관시는 문인의 문학적 능력이 최대한 응축된 대표적인 형식이었으므로 구관시의 창작은 만연했던 풍조였다. 한편 무인정권이 들어서자 다수의 고려 지식인들이 환로가 막혀 곤궁에 처했고 따라서 그들은 문학을 통하여 절망적인 현실에 대응하려 하였다. 이규보의 구관시 창작도 이러한 맥락 속에 있다. 수십 편의 이규보 구관시 가운데 <呈張侍郞自牧一百韻>은 그의 문학적 역량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구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방의 칭송–상대방과 자신의 특별한 인연 환기-자신의 입장 호소-상대방 존재의 필수부가결성 강조’라는 4단락의 설득구조를 갖추는 전략을 썼다. 또 형식적인 면에서 기교를 자랑하기에 알맞은 까다로운 排律詩라는 형식에다, ‘虞’韻만을 사용하여 자신의 변화하는 감정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博深한 전거 활용을 통해 자신의 지식수준을 드러냈는데 이는 단순한 전거의 나열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드러내는데 활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이규보는 <呈張侍郞自牧一百韻>에서 구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용과 형식 모두에 걸쳐 자신의 문학적 능력을 총체적으로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ckdrop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oogwansi (求官詩: a poem to ask for an official post) by Lee Gyu Bo (李奎報) that has not been relatively noticed thus far in the domain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thereby, shedding a light on the period that Lee Gyu Bo had lived and newly elucidating his literary value.
    Although Lee Gyu B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for the government posts at the times, he was not granted as an officer for several years, and therefore, he created about 22 poems of Googwansi until being nominated as the very first official post. Googwansi was typically composed for those who have a friendly relationship, and in particular, he composed the <呈張侍郞自牧一百韻> for Jang Ja Mok (張自牧) who was in the position of Sirang (侍郞: a position of a vice-minister class) to demonstrate his literary competency.
    This poem well illustrates his literary competency and skill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the poem was structured with 4 paragraphs to persuade the counterpart, for instance, ‘praise of the counterpart – reminding of a special connection between himself and the counterpart – appealing for his position – emphasizing that the existence of the counterpart is essential’, and he used a strategy that gradually stimulates the emotion of the counterpart. In a formality aspect, <呈張侍郞自牧一百韻> was composed of utilizing ‘Woo (虞)’ rhyme on top of Baeyulsi (排律詩: a Chinese poem with violated rules). Since Baeyulsi has a relatively tricky form, it is suitable for showing off his skills and ‘Woo (虞)’ rhyme is also appropriate to conveys his complicated feelings. In this context, it can be speculated that Lee Gyu Bo chose the Baeyul (i.e. violated rules) and ‘Woo (虞)’ rhyme intentionally in composing the poems. Finally, he disclosed his knowledge level and hard efforts on studying through utilizing the broad and deep grounds, and he seemed to take advantage of those broad grounds to properly disclose his feelings rather than just listing them.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Lee Gyu Bo completely demonstrated his literary competence to other parties through <呈張侍郞自牧一百韻>.
    This study investigated 「jeong jang sirang jamok ilbaekwoon」(meaning of the 100 verses for Jang Ja Mok in Sirang position). It is the first step to trace and to harmoniously examine a figure named Lee Gyu Bo with a trajectory of life as the life cycle. It is expected to have an opportunity that can exhibit his different aspects and shed light on his entire life through more research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