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MMC)의 조절효과: MMC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Moderating effects of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MM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Cell Group Leader's Super-Leadership and Member's Self-Leadership -Based on the Development of MMC Scal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37P 미리보기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MMC)의 조절효과: MMC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정보 / 69호 / 67 ~ 103페이지
    · 저자명 : 한은혜, 조태준

    초록

    본 연구는 교회 셀 리더와 구성원의 리더십 모형과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해 논하였다. 최근 소그룹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모바일이 많이 쓰이고 있고, 코로나19로 비대면 만남이 요구되면서 모바일을 활용한 접근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셀 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 방법 중 모바일 메신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가를 검증할 수 있도록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고, 셀 리더십 모형 구도와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하는 리더의 효과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모바일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MMC)척도개발을 위해 문헌 고찰과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진행한 결과를 토대로 MMC 개념 정의 및 3개의 하위영역(동기부여, 정보전달, 교제)을 설정하고 예비 문항을 작성하였다. 2차 FGI는 내용타당도 검증과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는 철학박사 2인에게 검증받았고, 예비문항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공간성, 시간성, 상황성을 내포하는지의 여부와 문항의 간결성,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면 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회 사역 경력 10년 이상의 기독교 교육 전문가 1인, 철학박사 1인, 교회 출석 1년 미만 성도를 대상으로 각 문항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이후 MMC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인천지역 셀 구성원 277명에게 사전조사(pilot test)를 하였다. MMC 측정도구의 요인구조를 확인한 결과 총 12개 문항 중 Meyers, Gamst, Guarino(2013)가 제시한 요인적재치 .40보다 낮은 문항은 없어 모든 문항이 유효하게 추출되었다. 그러나 MMC 문항은 초기 3개 요인으로 설정했으나, 12개의 설문 문항은 1개의 요인으로 판별되었다.
    이후 효과 검증을 위해 경인지역 교회 소그룹을 대상으로 416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Super-Leadership)이 구성원의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MMC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 관계에서 MMC 조절효과의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회 소그룹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천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leadership models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church cell leaders and members. Recently, mobile has been used a lot as a communication method for small group members, and as non-face-to-face meetings are required due to Covid-19, I think an approach using mobile is mo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communication using mobile messengers can be used positively and to present measures to predict small group leadership model structures.
    As a result of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primary Focus Group Interview(FGI)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MMC) scale, MMC concept definition and three sub-regions(motivation, information transfer, and companionship) were established. The 2nd FGI conducte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facial validity verifica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e confirmed whether the preliminary questions imply the spatiality, timeliness, and situational of mobile media communication and the simplic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questions. In order to develop MMC Scale, 277 cell members in Incheon were conducted a pilot te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MC measurement tool, none of the total 12 questions were lower than the factor loader .40, presented by Meyers, Gamst, and Guarino(2013), and all of them were effectively extracted. However, although we set it as an initial three factor, the MMC 12 questionnaires were determined to be one factor.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416 Protestant adults, and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5.0, AMOS 25.0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validity, research model, and total effects of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ember`s self-leadership. Second,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and the member’s self-leade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정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