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험된 현상학적 공간 표현으로서의 모바일 지오드로잉 연구 - 위치 기반 사진적 행위에 기초한 본인작품 <Surroundings> 중심으로 - (A mobile geodrawing as expression of experienced phenomenological space - Focused on authors’ work based on location-based photographic act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5.10
14P 미리보기
체험된 현상학적 공간 표현으로서의 모바일 지오드로잉 연구 - 위치 기반 사진적 행위에 기초한 본인작품 &lt;Surroundings&gt;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 14권 / 5호 / 117 ~ 130페이지
    · 저자명 : 양윤아, 남양희

    초록

    지오드로잉은 모바일 위치 데이터 기록을 이용하여 미적인 표현을 시도한 미디어 아트를 가리킨다. 기존의 지오드로잉은 대개 공간에서의 이동에만 초점을 두어 개인의 독특한 관점과 무관한 객관화된 궤적을 ‘선’으로 재현하는 데 그쳤다. 이와 대조하여, 본 논문은 개인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형성된 주관적 체험의 ‘장소성’이 강조되는 현상학적 공간성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 시간, 분위기 면에서 공간이 갖는 현상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 결과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 사진적 행위가 현상학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장소 경험임을 개념화한다. 그런 개념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새로운 방식의 지오드로잉 작품 <Surroundings>를 제안하며, 이는 특정 장소에서의 사진적 행위를 ‘점’의 표현에 반영하고, 장소, 시간, 분위기의 변화를 점을 잇는 선과 면의 그래디언트 색상으로 묘사한다. 최종 작품은 지표가 되는 점들의 연결이 형성한 ‘하루’의 다각형과, 여러 ‘하루’들이 중첩된 다각형들을 창작자이자 감상자에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내재적 공간 경험의 흔적으로서의 현상학적 모바일 지오드로잉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term ‘geodrawing’ indicates a kind of media art attempting aesthetic expression using the records of mobile location data. Existing geodrawing works mostly focus on moving in space and thus end up portraying ‘line’ as an objectified trajectory while ignoring person’s specific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at, this paper investigates artistic expression on phenomenological spatiality that emphasizes the ‘placeness’ of subjective experience formed by user’s voluntary behavior at some place. We first analyzes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space in terms of place, time, and mood, and as the result, smartphone camera based ‘photographic act’ is pointed out as person’s important, phenomenologically meaningful experience of placeness. Based on that, we propose a novel geodrawing work <Surroundings> where a ‘vertex’ reflects user’s photographic act at some place, and gradient color transformation between points reveals spatio-temporal and mood flow. The final output of our geodrawing constructs a polygon of ‘one day’ by connecting the points signifying spatial indices, and an overlapping shape of polygons representing several ‘one day’s is shown to the viewer who was the originator as well. As the result, this paper presents unprecedented kind of phenomenological mobile geodrawing art as the trace of human’s intrinsic spatial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