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앱마켓 시장에서의 유효경쟁 확보를 위한 규제정책에 관한 일 고찰 (A Study on Regulation Policies for the Workable Competition in the Mobile App-Marke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4.11
29P 미리보기
모바일 앱마켓 시장에서의 유효경쟁 확보를 위한 규제정책에 관한 일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법학 / 65호 / 499 ~ 527페이지
    · 저자명 : 송태원

    초록

    정보유통의 환경이 PC 인터넷 기반에서 모바일 스마트폰으로 변화됨에 따라 정보 콘텐츠의 유통 플랫폼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이되고 있다. 그런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앱마켓을 통해 설치되는바, 현재 앱마켓 시장은 구글과 애플의 독과점 상태로 되어 있다. 구글 등이 모바일 콘텐츠 유통시장에서 수요독점적 지위를 가지게 됨에 따라 관련시장에서 경쟁제한성이 문제될 수 있는바, 앱마켓 시장에서의 경쟁이 없다보니 상위시장인 앱개발사들로부터의 콘텐츠 공급 시장 및 하위시장인 이용자들에 대한 앱마켓 시장에서의 가격경쟁, 서비스 경쟁 유인이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고를 통해서 이러한 시장상태가 정상적인 경쟁의 결과인지 아니면 남용행위의 결과인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구글 등의 앱마켓은 경쟁 앱마켓이 당해 앱마켓에 등록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바, 경쟁 앱마켓이 구글의 앱마켓에 등록되는 경우 당해 경쟁 앱마켓 사업자는 시장에 편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설비에 대한 접근제한이 있는 것은 아닌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가사 구글의 앱마켓이 필수설비로 인정이 되지 않더라도 사실상 앱마켓 시장의 시장지배적 지위에 있는 사업자가 경쟁 앱마켓의 등록을 거절하는 행위가 기타의 사업활동방해로서 부당한 거래거절이 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다른 경로를 통해 경쟁 앱마켓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구글의 안드로이드 OS가 앱마켓 앱 설치를 불편하게 만드는 행위는 경쟁 앱마켓의 시장진입을 어렵게 만드는 행위로서 사업활동방해에 해당되는 것은 아닌지 검토가 필요하다.
    한편 앱마켓 시장은 IT 산업으로서 혁신산업적 특성이 있다는 점에서 경쟁당국이 시장 기능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를 함에 있어서 직접적 규제수단인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조치보다는 사업자의 자발적 시정을 유도하는 일종의 행정지도 등의 행위 형식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the method of information distribution has changed from personal computers to mobile devices, mobile apps are becoming a new platform for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The app store market where mobile apps are distributed is being dominated by two rivals—Google and Apple. In an environment where large companies like Google play a role of gatekeeper of the mobile content distribution market, the related markets also are restrained from competition. This means that apps of competitors have limited opportunities to enter the app market. The concern is that the lack of competition in the app market may lead to the lack of cost competition and service competition among app developers in the content distribution market and the submarket—the app market where users purchase and download apps. Therefore,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is the result of normal competition or that of unfair assistance from large corporations.
    Currently, app distributors such as Google do not give apps of rival app stores access to their own markets. Given that allowing apps to enter any app market regardless of their origin can give the app developers an easy access to the content distribution market,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is restricting the access of app developers to essential facilities. Even if app stores are not regarded as essential facilities, restriction imposed by the market-dominating app stores on apps can be seen as interference with business activities and unfair transaction rejection. Moreover, any act that makes app users inconvenient to install apps purchased from a third-party app market hampers the access of apps from different app markets to the app store. Unless there are any inevitable technical difficulties in installing the apps, it is highly likely that such a restriction is regarded as unfair interference with business activities. And it is debatable whether forcing app suppliers to use only a particular payment module designated by the app store is a tie-in sale or not. The answer to the question depends on whether there is justification for doing so.
    On the issue of the involvement of authorities responsible for ensuring fair competition in the mobile content distribution market, it is desirable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app stores in opening doors to different app markets through administrative guidance or consent decision rather than taking top-down measures such as issuing correct orders to app markets and imposing a fine on them, considering the innovative nature of the mobile app indus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