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학교 1학년 늘봄학교 이용 학부모의 지원요구: 모 취업상태에 따른 차이 (Parental Support Needs for First-Grade Elementary Students Using Neulbom School: Differences Based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3
20P 미리보기
초등학교 1학년 늘봄학교 이용 학부모의 지원요구: 모 취업상태에 따른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교육 / 36권 / 1호 / 237 ~ 256페이지
    · 저자명 : 정혜린, 임미인, 이광훈, 장경환, 김선진

    초록

    이 연구는 2024년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늘봄학교 정책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모 취업상태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늘봄학교가 시행된 2024년 1학기에 참여한 서울, 경북, 대구 지역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부모 141명을 섭외하였고,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 및 정책분석, 전문가 타당도 검증, 늘봄학교 이용 학부모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2024년 8월 5일부터 8월 16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 취업상태에 따른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늘봄학교 이용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의 경우 취업모 가정의 경우 방과 후에는 주로 ‘학원및사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돌봄의 형태가 유의하게 높았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가 참여하는 늘봄학교의 형태 및 선택동기에서도 취업모 가정의 경우 초1맞춤형늘봄학교(2시간)만 참여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시행하는 늘봄학교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와 달리 전업모 가정의 경우 ‘정부의 비용지원으로 인한 사교육비 부담 완화’의 목적으로 늘봄학교를 선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초등학교 1학년 학부모가 인식하는 늘봄학교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중요도 수준을 파악한 결과 전업모 가정에서 ‘프로그램 운영 및 놀이 공간’, ‘학교적응 및 사회정서 증진’, ‘놀이 중심 교수학습방법’ 영역에 대한 중요도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국가의 공적돌봄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늘봄학교 정책은 기존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취업모 가정에게 돌봄 공백에 대한 수요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동시에 전업모 가정에게는 기존의 사교육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비롯하여 놀이중심 교수학습방법 등 이음교육의 적절한 지원책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2026년까지 초등학교 전 학년으로 확대될 늘봄학교 정책에 대한 교육과 돌봄의 공존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기적인 로드맵을 구축하고, 수요자 맞춤형 돌봄 정책을 실현할 때 필요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d parental support needs concerning the Neulbom School policy, implemented in 2024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s based on mothers’ employment status. A survey was conducted of 141 parents of first-grad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buk, and Daegu who participated in the Neulbom School program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4.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and policy review, expert validity verific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arents with children in the Neulbom School program were conducted.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a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5 to 16, 2024,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Additionally,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were performed to assess differences in response based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rking mothers of first-grade students attending the Neulbom School program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ly on private academies and other extracurricular institutions for after-school care. They also preferred to enroll their children in Neulbom School programs providing longer hours instead of only participating in the 2-hour customized first grade program. Conversely, stay-at-home mothers primarily opted for Neulbom School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rough government support.
    Additionally, an analysis of first-grade parents’ perception of key environmental factors in Neulbom School revealed that stay-at-home mothers placed significantly greater importance on “program operation and play spaces,” “school adjustment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pla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part of the national public care policy, Neulbom School was recognized as a means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care programs. This approach helps to bridge care gaps for working-mother while providing stay-at-home mothers with structured support for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play-based learning that private education may not provide. Thus, as the Neulbom School policy is set to expand to all elementary school grades by 2026,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long-term roadmap to ensure the coexistence of education and childcare functions and to develop measures of implementing a demand-driven childcare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