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동일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Theory in Mobile Messenger Emoticon and Brand Emotic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8.03
13P 미리보기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동일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4권 / 1호 / 481 ~ 493페이지
    · 저자명 : 이승영

    초록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동일시 이론을 기반으로 한 유형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브랜드로 확장되었을 때 브랜드 이모티콘의 동일시를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카카오톡이모티콘과 브랜드가 제작 배포한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사례분석 및 동일시유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적 자료를 중심으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토어와 인터넷 DB를 통하여 이모티콘 자료를 수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의 이모티콘 동일시는 역할, 상황, 감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있으며 ‘나와 같은’ 이모티콘으로 감정이입을 통한 역할 동일시와 유사한 일상에서 겪는 모든 상황적 맥락을 보조하는 상황 동일시, 희노애락과 관련된 자신의감정과 생각을 투영함으로써 자신의 감정과 동일시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브랜드 이모티콘 제작 유형은 유명 캐릭터, 만화, 일러스트레이션 작가와의 제휴⋅협업 활용의 사례가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체 캐릭터, 광고모델을 활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브랜드 이모티콘한 세트의 개수는 12개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애니콘의 유형으로, 보조하는 상황을 포함하여 제작하는상황형 표현 사례가 높게 나타났다.
    브랜드 이모티콘의 역할, 상황, 감정 동일시에 의한브랜드의 공유, 의미화하는 과정을 유형별로 진행한결과, 브랜드의 역할 동일시는 제품의 타깃에 맞는 역할을 통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투영하고 캐릭터, 스타모델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동일시, 충성도를 브랜드로 확장하였다. 상황 동일시는 제품 속성과 관련된연상들을 토대로 소비자의 일상적인 또는 특정상황의구성을 통해 상황적 맥락에서 활용함으로써 브랜드동일시의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소비자와 브랜드 이모티콘을 매개로 희노애락의 감정을전달하고 서로 간에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브랜드 이모티콘을 통하여 자기감정을 투사하여의사소통에서 감정적 동일시 과정이 이루어졌다.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과 브랜드 이모티콘 동일시의 유형에 대한 분류는 상호배재적 범주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서로 간의 관련성과 유연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브랜드 이모티콘의 관심과 지속적인 활용 및확장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역할, 감정, 상황의 동일시를 고려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표현력을 높여줄수 있는 이모티콘 아이템 선정, 개발과 소비자의 자아동일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As an empirical research on a typ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theory focusing on mobile messenger emotic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dentification in brand emoticon when being extended to brand. For this, a case analysis and an identificationtype research were carried out targeting emoticons that Kakao talk emoticon and brand produced and widely distributed. A research method was progress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centering on documentary data. Emoticon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Kakao talk emoticon store and internet DB.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emoticon identification in mobile messenger user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role, situation and emotion. The classification was made to express with the role identification through empathy as emoticon ‘like me,’ with the situation identification of assisting every situational context, which is experienced in similar everyday life, and with the identification with own emotion through projecting own feeling and thinking related to all sorts of emotions. A type of making brand emoticon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a case of using affiliation⋅cooperation with the famous character, cartoon and illustration artists, and was surveyed to be produced with the application of own character and advertisement model. Number of one set for brand emoticon was surveyed to be the highest with 12 pieces. A type of Anicon appeared to be high in a case of situational expression, which produces with including a subsidiary situation.
    As a result of having developed the process of sharing and signifying the brand by type based on the role, situation and emotion identification in brand emoticon, the role identification in brand projected brand identity through a role suitable for the target of a product, and extended consumers’ identification and loyalty to brand through using a character and a star model. The situation identification functioned effectively in the aspect of brand identification with the application in the situational context through forming consumers’ daly or specific situation based on the associations related to a product property. Also,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process in communication was made by projecting self-feeling through brand emoticon with delivering all sorts of emotions by the medium of emoticon to consumers and with mutually arousing affective and emotional response.
    A classification on a type of mobile messenger emoticon and brand emoticon identification has no mutually exclusive category, and was existed mutual relationship and flexibility. For continuous application and extension along with an attention to brand emoticon, a consistent research is needed o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in emoticon item, which may increase the expressiveness of brand identity in consideration of consumers’ role, emotion and situation identification, and on consumers’ ego iden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