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부)모 양육지원이 취업부부의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 (Grandparents’ Childcare and Its Impact on Gender Division of Labor in Dual-income Working Coupl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7.03
32P 미리보기
조(부)모 양육지원이 취업부부의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29권 / 1호 / 128 ~ 159페이지
    · 저자명 : 김양지영

    초록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은 취업부부에게 대표적인 보육대안이 되고 있다. 조(부)모양육지원이 취업 부부의 돌봄을 둘러싼 젠더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초기 양육기부터 조(부)모 지원을 받아온 전일제 취업 여성・남성들을 심층면접해 분석하였다. 전일제 취업 부부는 2인 소득자 모델로서 취업 여성의 가족 내 협상력이 높을 것으로간주되는 이들로 실제 가족 내 협상력을 발휘해 배우자와 돌봄을 분담하고 있었다. 그러나이러한 협상력은 조(부)모의 돌봄이 전제된 분담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취업 부부는 조(부) 모 지원을 받고 있어 돌봄 문제로 갈등하지 않는다. 갈등은 새로운 역할분담에 대한 조율가능성을 담고 있으나 돌봄이 조(부)모 지원으로 해결됨에 따라 부부 공동의 과제로 설정되지 않고, 그만큼 돌봄은 여성의 몫이라는 기존의 성별 분업을 해체할 가능성 또한 낮다. 오히려 아이 돌봄의 갈등 주체는 (시)조모와 딸(며느리)로 돌봄이 세대 간 여성 연대를 통해해결되고 있다. 그러나 세대 간 여성 연대는 동등한 공동 양육 책임자간의 결합이 아닌 조(부)모를 주요 양육자로 하고, 취업부부가 지원을 하는 세대 간 분업 형태를 띤다. 취업 부부는 최소화된 돌봄 조건 속에서 여남 간의 ‘육아 대 가사’라는 새로운 성별 분업 형태를 보인다. 게다가 전통적인 성별 분업 인식을 가진 조(부)모는 사위/아들이 생계 부양자로서 가사육아를 하지 않도록 지원하고, 딸/며느리가 돌봄 제공자로서 역할을 다 하면서 시장노동을 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여남 간의 성별 분업을 유지시킨다. 결과적으로 조(부)모의 손자녀양육 지원은 취업부부가 돌봄을 분담하며 성별분업을 해체하기 보다는 오히려 자녀세대가돌봄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뿐 아니라 그러한 지원을 통해 성별분업을 유지・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analyses the effect of grandparents’ supports for child rearing on gender relations of working coupl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ull-time working couples is a dual-earner model. Working women are considered that they have a high bargaining power in the family. In fact, working couples have shared care work with their spouse. Even though the working couples share the burden of childcare, which implies gender equality in childcare, this sharing of childcare is only practiced when grandparents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Not only working fathers, but also working mothers contribute to childcare as little time as possible. In other words, grandparents mostly take caregiving, especially childcare, and this shows us that the female solidarity is an essential relationship for taking care of household, rather than the equal sharing of care work between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female bonding for care work, grandmothers become the primary care taker and full time working mothers come to be a second caretaker, meanwhile working young father takes the smallest part of caregiving. Furthermore, the recognition of grandparents’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strengthens the gender division of working couples. As a result, grandparents’ care support has an impact on strengthen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rather than letting the couple share their care work and dismantle the gender di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족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