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 있어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 (Licensor's Defect Liability in Mobile Game Publishing Agreemen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3.05
28P 미리보기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 있어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64권 / 2호 / 89 ~ 116페이지
    · 저자명 : 옥치왕

    초록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 있어 라이선서의 채무에 대한 해석기준이 계약법에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라이선서의 채무는 계약의 문언에 의존하여 판단하거나 지식재산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계약의 문언이 불충분한 경우가 많고, 지식재산 관련 법률에는 계약 당사자의 채권․채무 관계를 규율하는 내용이 빈약하다. 그 결과 계약총칙, 계약법 원칙, 관습법, 판례 등에 근거하여 계약을 해석하게 되므로 구체적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법 해석이 폭넓게 허용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법률의 제정 주체와 법률의 해석 및 집행 주체가 엄격히 구별되는 성문법주의 국가에서 이러한 법 해석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이 갖는 ‘도급계약성’과 ‘임대차계약성’에 기초하여,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을 판단함에 있어 전형계약 규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계약법의 규율 대상으로서 모바일게임의 물성을 객관적 존재형식으로서 ’물(物)’로 규정함으로써 모바일게임이 민법상 물건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문법주의 국가에서 민법은 실제 거래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법적 행위를 포섭할 수 있어야 하며, 무명계약이 확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 따른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을, 거래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도 「민법」의 전형계약 규정을 이용하여 도출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모바일게임의 개념과 물성(物性)을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의 개념과 법적 성질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런 다음 검토된 법적 성질에 기초하여 하자담보책임이 발생하는 법적 근거와 법적 근거에 따라 발생하는 하자담보책임의 구체적 내용과 그 한계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re are no clear provisions in the Contract Act that can be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licensor’s obligation in mobile game publishing agreement. Therefore, the licensor’s obligation is often judged based on the text of the contract or based on intellectual property laws. However, the wording of the contract is often insufficient, and the contents regulating the right and obligation of the contracting parties in intellectual property laws are poor. As a result, since contracts are interpreted based on general contract rules, principles of contract law, common law, and precedents, contract interpretation that is not based on specific laws is inevitably widely allowed. However, such a way of interpreting the contract is not desirable in a written legalism that strictly distinguishes between the subject of the enactment of laws and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and enforcement of laws.
    Therefore, in this study, in determining the licensor’s defect liability, I reviewed the applicability of the typical contract regulations based on the nature of contract for work and the nature of lease of mobile game publishing agreement. In particular, I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mobile games cannot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ings under civil law by def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obile games as object that means an objective form of existence. In a written legalism, civil law should be able to embrace legal actions that are frequently carried out in actual transactions, and it is not desirable for atypical contracts to be expanded. Therefor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derive the defect liability of licensor under the mobile game publishing agreement using the provisions of the civil law’s typical contract whil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transaction.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concept and physical properties of mobile games, and based on this, reviewed th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mobile game publishing agreement. Then, based on the legal nature reviewed, I examined the legal basis for defect liability, and the specific contents and limitations of defect liability arising from such legal ba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