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바일 쇼핑에서의 소비자 문화적 혁신성 척도개발 (Development of 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 Scale in Mobile Shopp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0.10
22P 미리보기
모바일 쇼핑에서의 소비자 문화적 혁신성 척도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3권 / 10호 / 1763 ~ 1784페이지
    · 저자명 : 송니은, 유원상, 김보영

    초록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PC 보다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비중이 증가하고있으며, 제품·서비스를 검색, 비교, 구매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스마트폰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가 ‘스마트폰 중심’으로 바뀌게 됨에 따라 가장 빠른 반응을 보이고 있는 분야가 ‘모바일 쇼핑’이다. 모바일쇼핑의 성장에 따라 학계에서도 모바일 쇼핑과 소비자의 소비 행동 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 소비자의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는 혁신성(Innovativeness) 이다. 혁신성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세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모바일 쇼핑과 소비자 혁신성에대해서 연구한 연구들은 소비자 혁신성을 하나의 요인으로 측정하고 있는 것이 많아, 소비자의 혁신적 특성을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상황과 필요에 따라, 특정 분야에 대해 혁신성의 차이를 보일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소비자의 문화적 혁신성(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과 관련된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척도가 신뢰성과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 모바일쇼핑 환경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소비자 문화적 혁신성 8개의 요인(다양성, 맞춤화, 사회적 책임, 프로슈머, 혁신, 속도, 멀티태스킹, 그래픽)과 24개 측정항목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소비자 문화적 혁신성이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의소비자 행동(모바일 쇼핑 이용의도와 만족도)의 예측변수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 사회, 문화 등 환경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쇼핑 분야에서의 소비자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인 소비자 문화적 혁신성 척도를 개발했다는 점, 소비자 혁신성의 세부 유형에따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해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s global smartphone penetration rate continues to increase, consumers are using the Internet more on their smartphones than on the computers, and the use of smartphones is also increasing in the process of searching, comparing and purchasing products and services on the Internet. “Mobile shopping” is the fastest responding industry to the shift towards “smartphone-centric” digital lives.
    With the growth of mobile shopping market, there is also growing interest in the mobile shopping and changes in consumer spending pattern in academia.
    One of the key variables that can explain consumer behavior in a mobile shopping environment is Innovativeness. Innovativenes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subtypes depending on the researcher.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on mobile shopping and consumer innovativeness have been carried out on a single dimension, which does not fully reflect the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Consumers can also show the different levels of innovativeness in specific areas, depending on their circumstances and need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cale related to 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bile shopping area, and identified whether the developed scale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can predict consumer behavior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methodology by referring to the procedures presented by Brakus, Schmitt, and Zarantonello (2009), Baldus, Voorhees, and Calantone (2015), Khan and Rahman (2016), and Khan and Rahman (2017).
    In the first stage, five Ph.D.-level researchers created dimensions and items based on prior research. In the second stage, a panel consisting of 10 master’s and doctorate-level researchers (two panels with five people) was formed, and the dimensions and items were organized. In the third stage, a preliminary survey (on 50 people)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actual respondents understand and respond correctly to the developed dimensions and items. As a result of reviewing reliabili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the main survey (on 618 people) in the fourth stage, eight dimensions and 24 items were finally developed. In fifth stag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eight dimensions of 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ntion to use and satisfaction of mobile shopping users as 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is proces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dimensions of 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consumer behavior in a mobile shopp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developed a scale of consumer cultural innovativeness, a dimension that can explain consumer behavior in the mobile shopping area which is constantly growing with technological,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consumer behavi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types of consumer innova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