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려동물 돌봄을 위한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A Study on Mobile App Interface Design for Companion Animal Car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10P 미리보기
반려동물 돌봄을 위한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65호 / 293 ~ 302페이지
    · 저자명 : 윤여경

    초록

    동물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과 더불어 살아왔지만 그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모했다. 2000년대 이전 동물은 집밖에서 생활 하는 ‘가축’의 의미에 가까웠다. 하지만 집밖에서 생활하던 동물들이 점차 집안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사람과 한 생활공간을 공유하는 가족 혹은 동반자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현재 반려동물의 수는 약 860만 마리로 반려 인구수는 대략 1,448만 명에 달하여 우리나라 4가구 중에 1가구는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변화된 시대상을 반영하여 반 려동물은 애완동물(Pet)이라는 장난감의 의미에서, 이름을 붙여주고 함께 정서적 교감과 온기를 나누며 살아가는 존재를 의미하는 반려동물(Companion)로 불리게 되었다. 최근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1인 가구의 증가, 경쟁을 강조하는 사회 기 조에 따른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인해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통해 정서적인 안정 그리고 가족의 부재에 따른 외로움을 해소 하고자 한다. 조건 없는 사랑을 주는 반려동물은 어느덧 삶을 의지하고 함께 살아가는 하나의 가족 구성원 또는 동반자의 관계가 되었다. 하지만 반려 인구 중 상당수가 1인 가구이기 때문에 반려인이 집을 비운 시간 동안 반려동물은 혼자 방치 되어 크고 작은 사건⋅사고에 노출되기 쉽다. 이에 반려동물 돌봄의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반려인들이 겪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전문가 집단의 FGI와 심층인터뷰를 거쳐 반려인의 요구사 항을 도출해냈다. 이후 와이어프레임 테스트와 프로토타입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케어할 수 있는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디자인은 반려인이 쉽고 편리하 게 접근할 수 있는 편의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디자인적 흥미와 몰 입도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같은 공간에 있지 않아도 반려동물 관찰 정보를 받아 안정적인 케어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반려인과 반려동물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nimals have lived with humans for a long time, but their roles have changed with the times. Before the 2000s, animals were close to the meaning of "farm" living outside the house. However, as animals living outside the house gradually came into the house, they played the role of a family or companion that shared a living space with people. Currently,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s about 8.6 million, and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s about 14.48 million, indicating that one out of every four households in Korea raises pets. Reflecting this changed era, pets were called pets, meaning pets that shared emotional communion and warmth togethe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due to the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stress due to the social stance that emphasizes competition, people want to relieve emotional stability and loneliness caused by the absence of family members. However, since many of the companion population is single-person households, pets are left alone during the time when their companion is away, so they are likely to be exposed to large and small incidents and accidents. Feeling the need for pet car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to find out the problems that pets face, and derived their requirem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GI by a group of experts. Later, through wireframe testing and prototype usability testing, the company sought to derive a mobile app interface design that can take care of pets more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of life of the companion regardless of any circumstances. The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effectively solves existing problems based on convenience that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accessed by companion, thereby increasing satisfaction and providing design interest and immer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both pets and pets by providing stable care by receiving pet observation information even if they are not in the same space as pe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