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하엘 엔데의 「모모」를 표현한 화예디자인 연구 (A Study on Work of Floral Art & Design MoMo by Michael End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09.12
12P 미리보기
미하엘 엔데의 「모모」를 표현한 화예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1호 / 165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성연, 박진미

    초록

    본 연구는 2009 파주 시티 가을 책잔치의 문화행사의 일환으로서 전
    시되었던 화예작품 모모의 표현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화예작품 모모
    의 모티브(Motive)는 1973년에 미하엘 엔데(Michael Ende)의 아동소설 「모
    모」에 바탕을 두고 작품을 표현하였다. 소설 모모에서 나타난 시간에 대
    한 현대 도시인들의 시각과 점차 소비중심문명으로 변화되어지는 문명의
    대한 비판을 화예작품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소설의 주인공인 모모는 자신이 사랑하는 친구들과 자신의 시간 즉
    삶을 나누고 싶어 하지만 친구들이 생활하는 현대의 도시환경은 점점 더
    바빠져 가고 개인적인 여유시간은 점차 사라져간다. 그 결과로 개개인의
    삶은 점차 황폐해지고 무엇이 더 중요한가에 대한 가치보다 생산성이 더
    욱 중요시 되어지는 가치관으로 인해 삶은 점차 차가워진다.
    현대인은 많은 것을 소유한 것 같이 보이지만 개개인의 정신적인 황
    폐함은 깊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모모」 작품해석을 통하여 중심어를 ‘시간‘으로 분석하고 주제
    어를 시간과 회색도시, 생명의 꽃으로 선정하여 조형언어로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소설의 사회적 배경과 내용을 살펴보고, 소설에 나타
    난 주제인 모모의 시간성과 화예의 시간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공간 속에서 먼저 자신의 시간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문장과 거울을 발견하고, 회색 시간의 방에 앉아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
    며 끝으로 자신의 생명인 시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의 꽃’을 보
    면서 작품에서 나온다는 공간을 연상하며 화예작품으로 표현해 보았다.
    미하엘 엔데의 소설 모모의 주제가 어떠한 과정으로 화예로 표현되었
    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화예작품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과정을 논하였다.
    모모의 주제어인 현대인의 시간성과 생명의 시간성에 대한 분석과 이
    러한 추상적인 조형언어의 형상화과정을 수록하고자 한다.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시도로서 문학의 예술적 소통이 화예디자인의 공
    간예술로 재창조 되어지는 과정은 의미있는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장르와의 결합하여 화예작품으로 창작되는 시도는 계속되어져
    왔으나 문학과 결합되어 표현되는 것은 새로운 시도라 생각되어지며 앞
    으로도 화예작품이 다양한 시도로서 활성화되고 많은 분야에서 자리매김
    하고 인정받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xpressionism of
    floral art work ‘Momo’ which was displayed as a part of Paju city
    book festival in fall, 2009. The motive of the artwork ‘Momo’ is based
    on the children’s novel ‘Momo’ written by Michael Ende in 1973. This
    art piece intended to show the viewpoint of modern city people in
    terms of the subject, ‘time’ and the criticism of consumerism in this
    novel through the floral art design.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tried to share his time and life
    with his friends, but they are all busy in the city environment and
    their time is taken by busy city life. Consequently, life becomes cold
    since the work efficiency is considered more valuable than what is
    more important in life. It seems that modern people have much, but
    their mentality is deeply devastated. We have analyzed the novel ‘
    Momo’ based on the keyword ‘time’ and the subject word, ‘time’,
    ‘gray city’ and ‘flower of lifetime’ to create a formative language.
    In this research, we have looked into the social background of this
    novel first and then the subject in the novel which is the ‘time’ of
    Momo and the ‘time’ of floral art. We have imagined a space with a
    floral art design which can provide a mirror to visitors reflecting their
    own time. This space also offers a room to visitors to think about
    them and finally let them escape from this space after seeing the
    ‘flower of time’. We have discussed the process of imaging the floral
    art by analyzing how the subject of the novel ‘Momo’ by Michael
    Ende had been incarnated into this floral art.
    It is a meaningful tryout to recreate a floral art design out of
    novelistic communication. There has been a continuous attempt to
    combine a floral art design with other genre, but the combination
    with the literature is surely a new tryout. We hope that this new
    approach will become more active and be one of the well-recognized
    areas in the floral art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