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테오 리치 이후 明末 예수회 適應主義의 微視的 轉換點 探索 ― 徐光啟와 알폰소 바뇨니의 ‘天主’ 用語使用 問題를 中心으로 ― (Seeking for Micro Transitions in Jesuit Accommodationism After Matteo Ricci: Focusing on the Terminology of God by Xu Guangqi and Alfonso Vagnon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19.08
27P 미리보기
마테오 리치 이후 明末 예수회 適應主義의 微視的 轉換點 探索 ― 徐光啟와 알폰소 바뇨니의 ‘天主’ 用語使用 問題를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21호 / 111 ~ 137페이지
    · 저자명 : 신주현

    초록

    明淸시기 예수회에 의한 天主敎의 중국 전래는 선교의 역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동서교류사와 사상사적인 의의가 큰 일대 사건이었다. 특히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방침은 유럽의 생경하고 이질적인 종교사상이 중국사상계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되었고, 유럽 선교사들과 중국의 문인 천주교 신자들 간에 사상적 대화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 역할을 하였다. 본고는 리치 이후 선교 방침상의 미시적 전환점을 추적하는 일환으로서 일차적으로 리치 사후부터 17세기 전반기까지 작지 않은 반향을 일으켰을 것으로 추정되는 1616년의 남경교안과 1627년의 가정회의 두 시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확인하는 방법론으로서 서광계와 바뇨니의 저작에서 나타난 용어 사용상의 변화상을 추적ㆍ분석해 보았다. 서광계의 경우 박해의 국면 이전에는 다소 자유분방하고 거리낌 없는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는 선택을 할 수 있었으나, 이후 선교사에 대한 탄핵이 진행된 심각한 상황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불식하기 위해 리치가 이미 구축한 보유론적 논의에 충실한 방향으로 변화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서광계에게서 관찰되는 이러한 미묘한 용어 사용상의 변화는 천주교 수용 초기에 중국 천주교회가 경험하게 된 경색국면에 대한 서광계의 대응이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바뇨니의 경우도 남경교안과 가정회의 이전 초기저작에서 과감한 용어가 제시되었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름을 바꾸고 활동을 재개한 이후 그의 저작에서는 ‘천주’와 ‘상주’ 용어를 주로 사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상제’ 용어의 사용을 두고서는 바뇨니의 가정회의 이전과 이후 저술 간에 확연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전에는 거리낌 없이 사용해 오던 ‘상제’ 용어가 바뇨니에게 있어서 후대에 일종의 ‘기피대상’이 된 것은 미시적 전환점으로서 가정회의가 갖는 파급력을 확인시켜주는 것으로 보인다. 리치의 노선을 충실하게 따른 가장 대표적인 ‘친-리치 진영’의 선교사로 평가돼왔던 바뇨니조차 가정회의를 기점으로 이렇게 눈에 띄는 용어선택의 변화를 보여준다. 현재까지의 분석결과를 놓고 잠정 결론을 내리자면, 남경교안과 가정회의를 전후하여 바뇨니와 서광계 두 인물이 남긴 저술에 나타난 ‘천주’ 용어 분석을 통해 1616년과 1627년이라는 시점이 적응주의의 성립과 적용 국면에서 미묘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전환점으로 존재했음을 숙고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to China by the Society of Jesus during Ming-Qing Dynasty constituted a significant part in the history of intellectual encounters between East and West, and that of Chinese Church. In particular, the Jesuit mission strategy of accommodation, often called Accommodationism, enabled the European religious thinking to be respectfully admitted in the Chinese intellectual milieu as intellectual dialogues between Chinese literati and the Jesuit missionaries were mad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wo incidents, the Nanjing Persecution in 1616-17 and the Jiading Conference in 1627-28, seeking for tracing the moments of micro transitions in the Jesuit Accommodationism. The special focus of the study lies in analyzing the terminology of God in the Chinese Christian texts authored by Xu Guangqi and Alfonso Vagnoni around the two incidents. An abrupt change is observed in the texts by Xu, from enjoying agency in using various terms for the translation of Christian God beyond the two terms of tianzhu and shangdi, to returning to the two representative terms suggested by Jesuits. The terminological change by Xu would presumably occur in reaction to the phase of the Nanjing Persecution as Xu himself had to act in more reserved manners. In case of Vagnoni, while the Jesuit priest was able to suggest wide variety of terms of God including shangdi in his earlier texts, he solely used tianzhu and shangzhu after the two incidents. Vagnoni became strongly reserved in using the term shangdi after he restored his mission activity by the new Chinese name Kao Yizhi, which may imply the significance of the decade between 1616 and 1627 as the moment of micro transition. It is particularly surprising to recognize that the Jesuit missionary in China who has been considered a typical pro-Riccian became strongly hesitant or concerned in following the terminology of God suggested by Matteo Ricci.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xts by Xu and Vagnoni, it is highly plausible to regard the decade as the moment of micro transitions, subtle but significant, in the practice of Jesuit mission strategy of accommo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